Category Archives: 기고문

아프리카 여성 권리, 사회 저변에서부터 시작하자

   아프리카는 민주화가 시작된 지 25년이 지났다.  몇몇 아프리카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2~3차례 이상 평화적인 정권교체가 이루어졌다. 그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다양한 NGO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서는 ‘철의 여인’이라 불리는 엘런 존슨-설리프가 아프리카 여성 최초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후 말라위에서도 여성 인권 운동가로 잘 알려진 조이스 반다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2004년더 보기…

치복(Chibok) 여학생 납치 사건, 그 후 일 년

   2014년 4월 14일 나이지리아 보르노 주(Borno State)의 치복에서는 수백 명의 여학생이 보코하람(Boko Haram)에 의해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간 이 소녀들의 행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추측성 보도가 있어 왔다. 이들이 보르노 주 외곽의 삼비사(Sambisa) 숲에 감금되어 있다는 보도가 있는가 하면, 그워자(Gwoza)에 있는 어느 가옥에서 삼엄한 경비 하에 있다는 보도도 있다. 이들이 국경 너머로 끌려가 노예로 더 보기…

신헌법과 평화

   정치는 어떤 국가에서 사람들을 지도해 나가는 체계이지 사람들의 삶의 전체적 지침은 아니다. 그 까닭은 지지하는 정당을 갖고 있지도 않으며 당의 이념을 신봉하지도 않지만 그들 역시 나라의 발전에 참여할 권리를 지닌다.    불행히도 탄자니아인은 망각의 문화와 여러 가지 일을 심도 있게 계속 추구하는 문화가 없다. 아마도 이는 단결, 형제애와 상호 신뢰의 원칙을 우리에게 만들어 준 나라의 역사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992년 다당제가 더 보기…

알제리 셰일가스 반대 시위, 새로운 정국의 불안 요소

   현재 알제리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 중 하나는 셰일 가스 탐사 문제로 인한 시위이다. 이 사건의 배경은 사하라 Tamanrasset주 In-Sallah시(수도 알제에서 남쪽 1200km)에서 작년 12월 27일 셰일가스 탐사를 위한 시범 굴착 착수 발표를 한 이후부터 연일 관심사가 되고 있고, 산유국인 알제리가 향후 자원 개발 역점사업을 어디에 두고 있는지를 가늠할 주요한 사안이다.    해당 주민들은 셰일 가스 탐사에 반대하고 더 보기…

핵에 대한 남아공 정부의 과도한 비밀 유지

   핵 문제 책임자인 남아공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부국장, 지자멜레 음밤보(Zizamele Mbambo)는 핵 정보의 투명성 요구에 대한 합의에 동의하는 것은 현재 진행 중인 새로운 핵 개발 프로그램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만약 이 합의가 남아공 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면, 그는 법에 대해 무지하거나, 아니면 논점을 흐림으로써 처리 방식 전반에 있었던 어떠한 잘못을 숨기려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핵이나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