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김광수 HK교수

북경대학교, 북경외국어대학교, 칭화대학교 아프리카학 연구기관과 학술 교류 및 협력 확대 합의

28Oct/25

김광수 소장은 2025년 10월 19일(일)부터 10월 23일(목)까지 중국 북경대학교, 북경외국어대학교, 칭화대학교 아프리카학 연구기관을 방문하여 학술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하였다.

2025년 10월 20일(월)~21일(화) 오전 북경대학교(Beijing University) 국제관계학대학(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산하 아프리카연구센터(Center for African Studies)에 방문하여 센터장인 Prof. Liu Haifang과 Prof. Xu Liang 및 7명의 학자와 학술 교류 및 협력에 관해 회의를 진행하였다.

한국외대 아프리카연구소는 2026년 2월 부산외대 국제학술회의에 Prof. Xu Liang과 Prof. Cheng Ying 초청하기로 하였으며 2026년 한국외대에서 <아시아 학자가 바라본 아프리카학>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하기로 합의하였고 매년 중국, 일본, 인도가 차례로 국제학술회의 개최하기로 논의했다. 아울러 HK3.0 컨소시엄 국제학술회의에 참여함은 물론 북경대 아프리카학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외 펠로우십 방문, 학생 교류 및 아프리카 학자와 교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MOU를 대신(MOU 권한이 없음)하여 를 도출했다.

2025년 10월 20일(월) 오후 칭화대학교 국제 및 지역학연구소(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IIAS) 방문하여 Prof. Shujian Wang과 학술 교류 및 협력에 관해 논의했다. 칭화대학교는 아프리카지역학 연구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 향후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논의하기로 했다.

2025년 10월 22일(화) 북경외국어대학교(Beijing Foreign Studies University: BUFS) 아프리카대학(School for African Studies)을 방문하여, 학장 Prof. Li Hongfeng 및 Zhang Jingwei, Wang Ting, Zhao Qichen 등과 학술 교류 및 협력에 관해 논의했다. 한국외대와는 학교 수준에서 이미 MOU를 맺었으며 아프리카대학(School for African Studies) 차원에서 MOU는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였고 향후 북경외대와 마찬가지로 형식으로 문서교환 하기로 합했다. 학장인 Prof. Li Hongfeng(李洪峰)과 학자 1인이 2026년 2월 부산외대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하기로 하였고 부산에서 북경대, 북경외대, 일본 아프리카학회 회장과 라운드 테이블을 열기로 합의했다.

또한, 북경대학교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Institute of International & Regional Studies 및 School of Foreign Studies 학장인 Prof. Luo Lin을 만나 향후 아프리카학 교류와 협력 지원을 부탁했다.

한편 칭화대학교의 Prof. Wang Shujin이 상해사범대학교(Shanghai Normal University)의 인문대학(School of Humanities)의 Prof. Zheyuan Deng을 소개하였고 향후 상해사범대학교와 학술 교류 및 협력에 대해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20251020_124456-북경대

20251020_145117-칭화대

20251021_161052-북경대

20251022_112858-북경외대



20251022_160544-북경대 학장 Luo Lin

<2025 미래경제포럼> 개최

28Oct/25

2025 미래경제포럼 개최 안내: 아프리카의 재발견, 함께 하는 대한민국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가 외교부 산하 기관인 한-아프리카재단과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5 미래경제포럼’ 개최 개요를 안내합니다.

본 포럼은 ‘마지막 성장엔진’으로 불리는 아프리카와의 경제 교류·협력 확대를 모색하는 공론의 장이며, 특히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개최되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1. 행사 정보

가. 대주제: 아프리카의 재발견, 함께 하는 대한민국

나. 일시: 2025. 11. 14.(금) 13:40 ~ 18:00

다. 장소: 서울시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 2층 크리스탈볼룸

라. 주최: 연합뉴스, 한-아프리카재단

마. 후원: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농촌진흥청,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연합뉴스TV, 연합인포맥스

2. 주요 세션 및 내용 (TED 방식 운영)

가. 기조연설

– 강연자: 헬리케 매로와 에나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사무총장)

나. 세션-1: 부상하는 글로벌 사우스, 중심에 선 아프리카

– 아프리카의 경제 현황 및 미래 전망을 조명하고, 한국과의 실질적 협력 모델 모색.

다. 세션-2: K-비즈니스, 아프리카를 만나다

– 한국 공공기관 및 기업이 쌓은 아프리카 파트너십 경험과 전략을 공유하며, 핵심 광물 확보와 현지 시장 개척 방안 논의.

라. 세션-3: 미래를 잇는 다리, 한-아프리카 경제 동행

– 인적 자원 교류, 기술 협력, 공동 투자 등 호혜적인 관계를 통한 지속 가능한 한-아프리카 동행의 여정 모색.

2025 미래경제포럼 개요 (1)001

2025 미래경제포럼 개요 (1)002

김병춘 HK연구교수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논문 출판

15Oct/25

“남수단의 평화와 개발을 위한 청년 주도형 지역 전략: HDP Nexus와 한국 발전 경험의 현지화”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제5권 제2호, 2025.10.31., pp.9-41)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김병춘 HK연구교수의 논문 「남수단의 평화와 개발을 위한 청년 주도형 지역 전략– HDP Nexus와 한국 발전 경험의 현지화」가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제5권 제2호(2025년 10월 31일)에 발간되었다.

본 연구는 인문한국(HK3.0) 사업의 핵심 아젠다인 ‘아프리칼리티(Africality)’와 HDP 넥서스(Humanitarian–Development–Peace Nexus) 개념을 접목하여, 분쟁 이후 사회에서 청년 주도형 지역전략이 평화·재건·개발을 통합적으로 견인하는 구조적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방법론적으로는 정량적 통계분석과 정성적 현지조사(인터뷰·사례분석)를 결합한 혼합연구(hybrid approach) 를 통해,
① 청년의 사회참여가 지역거버넌스 역량을 강화하고,
② 인도적 지원(H)–개발(D)–평화(P)의 상호 연계(HDP Nexus)가 제도적 지속가능성으로 이어짐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발전 경험과 제도적 학습이 남수단 지역사회의 청년 네트워크를 통해 현지화될 수 있는 경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외부주도형 원조모델을 넘어 청년과 공동체의 자생적 주체성에 기반한 평화·개발 협력모델로 평가된다.
본 논문은 HK3.0 컨소시엄이 추진하는 ‘지식의 경계와 교차성’ 융합연구의 대표 성과물로서, 한국의 개발경험을 아프리카 평화·재건의 현장에 접목한 정책·학문 통합형 실천연구로 그 의미를 갖는다.

향후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 평화활동, 청년역량강화 정책 분야의 학문적 및 실무적 기반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작성자: 김병춘 HK연구교수, 최재희 연구원

김병춘 HK연구교수 『국제평화활동과 한국의 전략 – 유엔과 다국적군의 현장, 그리고 미래』 출판

15Oct/25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김병춘 HK연구교수(평화안보전략센터장) 이 총괄·기획한 저서
『국제평화활동과 한국의 전략 – 유엔과 다국적군의 현장, 그리고 미래』 가 2025년 9월 25일 발간되었다.

image01

이 책은 대한민국 최초로 국제평화활동을 종합적으로 다룬 대학·대학원용 전문교재로, 유엔과 다국적군의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한국형 평화활동 전략을 제시한다. 총 286쪽 분량으로 구성된 본서는 이론과 실무, 정책과 현장을 아우르는 통합적 시각을 제공한다.

공동저자는 모두 국제기구와 유엔 현장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보유한 박사급 전문가들로, 인도적 지원(H), 개발협력(D), 평화구축(P)을 연결하는 HDP 넥서스 기반의 평화협력모델을 제시한다.

책은 △유엔 평화활동의 제도와 이론 △한국의 평화활동 사례 △다자외교와 국제평화 전략 △디지털 전환과 미래 평화정책 등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평화활동이 단순한 군사적 참여를 넘어 지속가능한 국제협력과 인류안보를 실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임을 보여준다.

이번 저서는 한국의 평화활동 연구를 한 단계 도약시킨 전문 교재이자 실천적 전략서로, 향후 대학과 연구기관의 국제평화교육 및 정책연구의 핵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자: 김병춘 HK연구교수, 최재희 연구원

김병춘 HK연구교수 『한일군사문화연구』 논문 출판

15Oct/25

개발국가 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남수단 재건을 위한 동아시아 발전 경험의 시사점”
(한일군사문화학회 KCI 등재지, 제44호, 2025.8.31., pp.121–154)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김병춘 HK연구교수의 논문 「개발국가 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남수단 재건을 위한 동아시아 발전 경험의 시사점」이 KCI 등재학술지 『한일군사문화연구』 제44호(2025년 8월 31일 발행)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은 개발국가(Developmental State) 이론을 토대로, 한국·일본·대만 등 동아시아 발전 경험이 남수단의 국가 재건과 평화구축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연구는 남수단의 취약한 거버넌스와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면서, 개발국가 모델의 핵심 요소인 정책 주도형 국가역량, 인적자원 개발, 관료제 중심의 발전 관리 체계를 남수단의 현실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본 연구는 남수단의 평화·재건정책을 HDP 넥서스(Humanitarian–Development–Peace)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국의 경제개발 및 평화공여 경험이 국가 건설과 사회통합의 선순환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논문은 ‘한국의 발전 경험의 글로벌 확장과 아프리카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연구로 평가되며, 향후 한국의 국제개발·평화활동 정책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자: 김병춘 HK연구교수, 최재희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