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기고문
에티오피아의 정치적 양극화가 국가의 존립 위협
2019년 8월 중순 아비(Abiy Ahmed) 총리는 2020년에 있을 총선(總選)에 대해 언급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은 선거가 예정대로 치러지도록 하기 위해 최근에 회의를 개최했다. 지난해 에티오피아는 지역 선거와 국가 선거를 치렀다. 지난 18개월간 에티오피아에서는 정치적 자유가 어느 정도 허용되었다. 하지만 이것이 민주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정치적 자유화가 민주화로 귀결되지는 않기 때문이다.더 보기…
G5 Sahel의 지역 안보 딜레마
2014년 2월 16일 모리타니 수도 누악쇼트에서 사헬지역의 모리타니,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챠드 등 5개 국가는 프랑스의 후원으로 G5 Sahel을 창립하여 2017년 공식 출범했다. G5 Sahel의 근본 목적은 지속 가능한 개발과 안보에 대한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사헬지역에서 활동하는 지하드 조직 AQIM, MUJWA, Al-Mourabitoun, Boko Haram 등의 위협에 공동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하지만 프랑스의 더 보기…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와 스와힐리어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 산업화 주간과 전시회가 2019년 8월 5일부터 9일까지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줄리어스 니에레레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이 행사 폐막식에 참석한 알리 모하메드 쉐인(Ali Mohamed Shein) 잔지바르혁명정부(SMZ) 대통령은 스와힐리어를 SADC의 공식어로 지정하자고 제안했다. 현재 SADC의 공용어는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이다. 알리 모하메드 쉐인은 탄자니아가 수많은 종족으로 구성된 나라임에도 불더 보기…
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 연구의 문제점과 향후 발전 가능성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서 토지는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특히, 아직도 상당수 아프리카인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은 이들의 삶이 토지 사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것을 말하며, 이는 토지 횡령(land-grabbing) 사안이 아프리카에 중대한 이슈라는 것을 시사한다. 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과 관련된 연구 대부분은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주로 토착민을 타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킨 주요 행위자 및 원인을 규명하는 데 집중한다. 기존더 보기…
부르키나파소는 알카에다 활동지역이 되는가?
국내 일반인에게 생소한 아프리카 국가, 부르키나파소가 제법 알려진 것은 한국 여성이 테러 집단에 납치되었다가 프랑스군에 의해 프랑스인 2명과 함께 구출되면서였다. 미국 정부에 의하면 부르키나파소는 오래전부터 알카에다 잔당 혹은 추종자들이 은신하고 있는 곳이다. 이를 입증하듯이 2018년 알카에다는 부르키나파소에 자신들의 조직이 있음을 공공연하게 주장했다. 특히 말리의 알카에다 조직인 ‘이슬람과 무슬림 지원 단체’(GSIM, Groupe d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