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 연구의 문제점과 향후 발전 가능성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서 토지는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특히, 아직도 상당수 아프리카인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은 이들의 삶이 토지 사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것을 말하며, 이는 토지 횡령(land-grabbing) 사안이 아프리카에 중대한 이슈라는 것을 시사한다. 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과 관련된 연구 대부분은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주로 토착민을 타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킨 주요 행위자 및 원인을 규명하는 데 집중한다. 기존 연구에서 현재까지 밝힌 횡령자는 다국적 기업을 비롯하여 아프리카 정부 및 토지 정책 등으로 다양하다. 문제는 기존 연구들이 실질적으로 토지 횡령으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토착민의 삶의 변화와 이들이 바라보는 토지 횡령의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드왕그와(Dwangwa) 지역은 말라위의 주요 사탕수수 재배 및 설탕 생산 지역이다. 이곳에는 다국적 설탕 생산 기업인 일로보(Illovo)가 1970년대 진출하여 대규모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을 운영 중이다.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으로 인해 다수의 공동체 구성원이 타 지역으로 이주했고, 이들 중 상당수는 카옹고지(Kaongozi)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렇다면 이들에게 기존 토지 횡령 연구들이 규명하고자 하는 횡령자는 중요할까? 답은 아니다. 이들은 이주 후 약 40년간 자신들이 사는 환경(토질 및 지형)이 기존에 살고 있던 지역보다 열악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래서 카옹고지 지역 공동체는 토질이 열악하고 산악 지형이라, 이들이 빈곤한 삶을 살고 있으며, 횡령자보다 이들의 삶을 개선해 줄 수 있는 행위자를 규명하는 작업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카옹고지 지역의 산악 지형은 보통 다양한 공동체가 모여 진행하는 말리팽가(Malipenga)와 같은 전통춤 경연대회를 더 이행할 수 없게 만들었다. 즉, 이들에게 토지 횡령은 ‘지역 환경 변화’로 해석되고, 이는 전통문화의 소멸이라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기존의 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 연구들이 위와 같은 중요한 점들을 규명하지 못한 이유는 이들이 공동체가 이주했던 과거 상황에만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현재 공동체의 시점’에서 토지 횡령 사안을 분석 및 해석하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이런 진전이 이루어질 때 토지 횡령이라는 주제가 전통문화의 소멸과 같은 새로운 주제와 융합되어 한 단계 진보된 연구 주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