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기고문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는 아프리카 농민
아프리카의 경제 성장에서 농업은 당장의 생계에서부터 미래의 직업 창출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농업 분야를 활성화하는 것은 농업 자체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에도 중요하다. 농업 발전을 위한 기본 방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농민이 금융 및 재정 서비스를 더 잘 받도록 하는 것일 것이며, 종자 개량이라든지 더 많은 비료를 생산하는 일 그리고 그것을 작물에 직접 적용하기, 또 이 모든 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투자(유치)일 것이더 보기…
카메룬의 인터넷 서비스 중단과 언어 정책
카메룬에서 약 한 달 전 인터넷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음에는 기술적 문제가 원인일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달포가 되도록 서비스가 복구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이번 일이 정부가 고의적으로 벌인 일이라고 결론짓기에 이르렀다. 특히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 곳은 영어권 지역인 남서 지역과 북서 지역으로, 이는 최근 수개월간 반정부 시위가 벌어졌던 곳이다. 이로 인해 전체 인구의 약 20%에 달하는 사람이 현재 인터더 보기…
제약 분야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는 아프리카
그간 아프리카는 풍부한 천연자원으로 세계의 관심을 받아 왔다. 이번에는 제약 분야의 새로운 블루 오션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프리카의 제약 시장은 그동안 정치 불안 및 낮은 경제 성장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구매율 부진으로 제약 업체들로부터 외면 받아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급성장하는 경제 상황 덕분에 상황이 바뀌고 있다. 세계은행(WB)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가 지난해에는 5% 성장했으며, 올해는 6% 이상 성장할 것으로 더 보기…
감비아 사태를 통해 본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공고화
1990년을 기점으로 아프리카가 민주화를 단행한 지 27년이 되었지만, 대통령 선거 이후의 아프리카 정세는 여전히 불안하다. 일부 국가에서는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 삼선 제한을 무시하고, 국민의 이름을 빙자하여 헌법 개정을 통해 장기 집권을 도모하였거나 도모하고 있다. 2010년 12월 코트디부아르에서는 대통령 선거로 국가 위기가 발생했다. 2017년 1월 감비아에서도 이러한 사태가 발생했다. 2016년 12월 1일 감비아 국민은 22년 동더 보기…
에티오피아 정부 기관의 재정 관리 문제
2016년 5월 에티오피아의 감사원장은 연방 정부 기관인 제약기금공급청(PFSA)에 대한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제약기금공급청은 유효 기한이 만료된 약품과 의료 장비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50만 비르어치의 약품이 창고에서 썩고 있었다. 이들 약품이 국민의 세금으로 구매되었음은 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감사원장은 145개의 연방 정부 기관, 294개의 자치구와 시 행정부, 연방 정부 기관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