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기고문
아프리카 내 녹색 성장의 현실성
현재 아프리카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녹색 성장’을 지향하고 환경 오염 감소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리비아를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국가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아래 온실가스 감축목표(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를 제출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감축 목표를 살펴보면 26개 국가가 ‘녹색 개발’과 ‘녹색 경제’를 지향한다고 명시한다. 하지만 이들에게 녹색 성장더 보기…
아프리카 신부대(bride wealth) 관습의 쇠퇴
신부대란 ‘결혼 시에 신랑 측이 신부 측에게 지불하는 재화’를 가리킨다. 신부대 관습의 기원은 기원전 3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를 비롯하여 메소포타미아, 히브리, 아즈텍, 잉카 등의 고대 문명에서 이 관습이 실행되었다. 1967년 조지 머독(George Murdock)은 1,167개의 전(前) 산업 사회에 관한 자료를 토대로 『세계 민족지 지도』(World Ethnographic Atlas)라는 저서를 발간했다. 이 저서에 따더 보기…
아프리카로 확대하는 중국의 One Belt and One Road(一帶一路)
시진핑의 중국 대외정책 핵심인 OBOR은 2013년 발표되어 2016년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2049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8조 달러 이상의 투자가 예상되는 OBOR에 중국은 이미 8,900억 달러를 투자했다. 철도를 이용한 경제 벨트는 중국에서 스페인 마드리드까지 연결되고, 해상을 이용한 실크로드는 케냐 몸바사를 거쳐 이탈리아 베네치아까지 연결되는 중국 자본주의의 거대한 지리적 확장이다. 63개국 이상이 이 두 개의 벨트더 보기…
아프리카의 유전자변형 작물(GM Crops) 생산과 이슈
최근 다수의 개발도상국 정부는 유전자변형 작물(GM crops) 생산 및 개발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다. 농업생명공학응용을 위한 국제서비스(ISAAA)에 따르면 2017년까지 GM crops를 재배한 국가는 총 24개국이었고 이 중 19개국이 개발도상국이었으며, 이외에 43개국이 식량이나 사료로 GM crops를 수입했다고 밝혔다. GM crops를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대표적인 아프리카 국가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GM옥수수, GM콩)과 수더 보기…
잠비아의 부채 위기, 중국이 인수할까
잠비아는 국가 부채 위기를 겪으며 극심한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도로 위의 차들은 가급적 속도를 낮춰 달리지 않으면 속도 위반 딱지를 떼이기 쉽고, 정부는 우물 사용, 인터넷 전화 사용에 대한 세금도 걷겠다고 발표했다. 그만큼 잠비아 정부의 재정난이 심각하다. 2000년에서 2010년 사이 잠비아는 연간 7퍼센트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며 승승장구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2011년 구리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잠비아의 경제 호황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