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이한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유럽연합과 EU-ACP 협력체의 중심국가, ODA(공적개발원조)의 주요 수여 국가 등으로 프랑스가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특히 여타 구 식민종주 유럽 국가들과 달리, 1957년부터 야운데협정(현재 코토누 협정으로 바뀜)을 통해서 구 식민지령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관계를 유럽공동체 안에 끌어들임으로써, 현재까지도 다방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이한규 아프리카에서는 국민소득에 비해 대통령 후보 공탁금이 지나치게 많아, 정부가 야당세력에 대한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세네갈에서 2011년 대통령 후보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약 1억 5천만 원의 공탁금을 선거관리위원회에 지불해야 한다. 기네 또한 1억 2천만 원을 지불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약 1 천만 원의 가령의 공탁금을 필요로 하고 있다. 국가에서는 무분별하고 덕망 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설병수 아프리카의 여타 많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가나의 인프라 상태는 아주 열악하다. 위의 만평은 각종 교통수단으로 쿠마시(Kumasi)와 은사왐(Nsawam)을 잇는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가나 사람들의 여러 모습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다. 가나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쿠마시와 그 인근 도시들을 잇는 도로의 상태가 열악하다는 사실은 그리 놀랄만한 일이 못 된다. 왜냐하면 수도인 아크라(Acc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설병수 토지 보유 체계는 다양한 역사적 요인과 농경 방식으로 인해 국가들 간에, 그리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에 상이성을 드러낸다. 개발도상국들에서 토지 보유 체계는 경제적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이들 국가에서 토지 보유 체계는 사람들의 문화 및 정체성과 아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이것은 왜 토지 문제가 격렬한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지를 부분적으로 설명해 준다. 대개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설병수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 곳곳에서는 인신매매(human trafficking)가 자행되고 있다. 인신매매는 많은 사람들이 쫓고 있는 돈 때문에 주로 발생한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세계 도처에는 약 2천 7백만 명의 사람들이 인신매매 상태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다. 이것은 약 300년 전의 대서양 횡단(Trans-Atlantic) 노예무역 시기보다 더 많은 노예가 지구상에 현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