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일레메리엄(Hailemariam Desalegn) 총리는 대(大)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reat Ethiopian Renaissance Dam, GERD) 건설 사업에 지대한 관심을 가져 왔다. 에티오피아의 모든 국민도 이 사업에 관심과 호기심을 보이면서, 이 사업이 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국민 통합에 기여하길 기대하고 있다. 그간 이집트를 비롯하여 여타 나일 강 연안 국가―수단, 소말리아, 르완다,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부룬디, 더 보기…
아프리카의 여타 국가와 마찬가지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에서 대규모 노동 이주가 시작된 것은 서구 자본주의 경제 체계가 이식되면서부터였다. 1867년 오렌지 자유 주(Orange Free State)에서 다이아몬드가, 그리고 1886년 트란스발(Transvaal)에서 금이 발견된 이후, 상당수의 흑인은 가족을 고향에 남겨 두고 도시 지역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광산 부문뿐만 아니라 2차 산업과 상업농 부문의 성장은 값싼 노동력더 보기…
아프리카 정부들은 최근 양자 협정과 지역통합 기구의 합의에 따라 해당 아프리카 회원 국가 간 비자 없이 입국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국가들에서는 국내 안전을 이유로 아프리카 외국인(비아프리카인은 물론)은 비자가 있어야만 입국할 수 있다. ECOWAS에서도 회원국 여행자들에게는 무비자를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비자가 있어야 입국이 가능하다. 회원국 간의 정보 교환과 행정적 절차에 대한 공유가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못하더 보기…
평화를 위한 스톡홀름 국제연구소(Sipri,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세계적으로 군비 지출이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2012년에는 0.4%, 2013년에는 1.9%가 감소하였고, 미국의 군비 지출은 2013년 7.8%로 줄었다. 근본적인 이유는 군비 경쟁의 동기가 점차 사라져가고 있고, 세계적인 경제 불황에도 기인하는 것 같다. 이러한 더 보기…
짐바브웨(Republic of Zimbabwe)의 대통령 로버트 무가베(Robert Gabriel Mugabe)가 자신의 딸의 결혼식에서 300만 파운드(약 53억 원)을 쓰는 한편, 지난 2014년 3월 19일 봉급 인상을 요구해 논란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11일 짐바브웨가 해외에 긴급 구제 자금을 요청한 사실과 더불어,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이 딸의 결혼식 비용으로 막대한 돈을 쓴 것이 알려져 비판을 받고 있다. 짐바브웨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