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대륙에서 내전, 분쟁, 자연재해가 일어난 지역의 식품 불안전 문제는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정책 입안자나 소비자들은 유전자조작(Genetically Modified : GM) 식품의 위험성에 대해 입장이 나뉘어 있다. GM 식품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유전자조작 식품이 생산량과 영양을 크게 개선시킬 것이라 말한다. 상업적 유전자 조작 농업을 시행하고 있는 아프리카의 4개국 – 부르키나 파소,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윤서영 나이지리아 경제는 재정 수입의 90% 이상을, 외화 수입의 75% 이상을 원유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나이지리아에서는 원유 생산과 수출이 국가 경제를 이끌어가는 부분이다. 그러나 1990년대 말 이후, 원유 절도로 인해 정부와 석유회사들은 월 10억 달러 이상의 손해를 보고 있다. 2013년 작년 한 해에만 절도행위가 약 5000건이 보고됐으며 이로 인해 원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이한규 세네갈은 대서양 연안을 따라 531㎞의 긴 어장이 형성되어 있는 주요 수산 국가이기도 하다. 이 어족 자원은 세네갈 국민 총생산의 2.5%에 해당하며 세네갈 해외 총수출의 12.5%(1억 3천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세네갈 전체 인구의 약 17%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네갈의 중요한 경제 자원이기도 하기도 하다. 세네갈 1인당 년간 생선 소비량이 평균 27kg으로 생선 소비가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이한규 M23 반군이 르완다 대통령에 떠밀려 콩고민주공화국 정부에 분쟁을 끝내고 정치적인 협상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M23 반군은 국방부, 경제부, 외교부 등 여러 부서의 자리를 요구하고 있어 콩고 정부가 당혹해하고 있다. M23 반군은 르완다 국경 부근인 고마(Goma)에서 활동하고 있어 르완다 대통령 카가메에게 있어서 여간 골치 아픈 것이 아니다. 카가메는 M23 반군에 의한 분쟁 해결은 M23더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윤서영 전 세계적으로 소수 언어가 존재하며, 대부분의 소수 언어는 소멸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것은 단순히 언어뿐 만이 아닌 해당 지역의 문화 소멸까지 위협하고 있는 중차대한 문제이다. 나이지리아 언어학자 협회(LAN, Linguists Association of Nigeria)의 친예레 오히리-아니체(Chinyere Ohiri-Aniche) 교수는 평생을 바칠 각오로 토착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