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한 지 반세기가 되어가는 지금, 대부분의 국가에서 민주주의는 전반적으로 잘 정착되어 발전하고 있다. 대륙 전반에 걸쳐 선거가 정상적이고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나, 케이프베르데, 세네갈, 베넹, 부르키나파소 등이 그 대표적 국가들이다. 부르키나파소의 마티유 케레쿠 대통령은 1972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지만, 1991년의 선거에서 투표 결과에 승복하며 퇴임하였다. 이후 5년 뒤에 다시 선거에 나와 당선된 후,더 보기…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 주마(Jacob Gedleyihlekisa Zuma) 대통령은 지난해 부터 사택 리모델링 공사를 위해 공금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그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10여 년 전 자신의 부인이 집에서 강도들에게 성폭행을 당해 치안과 보안 강화를 위한 수리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정확한 설명은 없었다. 국민들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사적인 용도로 2억 4천 6백만 랜드(약 24더 보기…
지난 3월 남아공의 케이프타운 대학교(University of Cape Town: UCT)에서 세실 로즈(Cecil Rhodes)의 동상이 검은색 쓰레기봉투로 감겨 있거나 배설물이 투척된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3월 23일 학생들은 동상 철거를 위한 연좌농성을 벌였다. 한 학생단체는 로즈 동상은 남아공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의 잔재로, 현 정부가 인종차별 개혁 의지가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며, 동상 철더 보기…
음체보 들라미니(Mcebo Dlamini)는 비트바터르스란트대학교(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Wits) 학생대표위원회(Student Representative Council: SRC)의 대표이다. 그는 시온주의자의 압력에 의해 SRC에서 추방당했다며,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에게 경의를 표하는 글을 자신의 SNS에 게시했다. 지난 월요일 Wits의 총장과 부총장이 들라미니의 대표 지위를 박탈더 보기…
작성자: 이홍래 작성일: 2015.4.18 지난 수요일 로버트 무가베(Robert Mugabe) 짐바브웨 대통령이 네 가지 주요 사안을 의결하기 위해 남아공 순방을 시작했다고 그의 대변인 조지 차람바(George Charamba)가 전했다. 무가베 대통령은 화요일 밤 남아공에 도착하였으며, 이에 야콥 주마(Jacob Zuma) 남아공 대통령이 츠와네(Tshwane)의 유니언빌딩에서 무역 상대국에 대한 그의 두 번째 방문을 환영했다.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