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기에 있는 아프리카의 민주주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한 지 반세기가 되어가는 지금, 대부분의 국가에서 민주주의는 전반적으로 잘 정착되어 발전하고 있다. 대륙 전반에 걸쳐 선거가 정상적이고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나, 케이프베르데, 세네갈, 베넹, 부르키나파소 등이 그 대표적 국가들이다. 부르키나파소의 마티유 케레쿠 대통령은 1972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지만, 1991년의 선거에서 투표 결과에 승복하며 퇴임하였다. 이후 5년 뒤에 다시 선거에 나와 당선된 후, 헌법을 준수하며 직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민족 간의 갈등도 없었다. 부르키나파소에서는 2014년 10월 헌법 개정을 시도하다 국민의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부당한 관행들이 잔존하고 있는 국가들도 있다. 2015년 재임에 성공한 알파 콩데 기니 대통령의 소속당은 2010년 선거 운동 당시에 야당의 민족 집단인 플(Peul)족이 정치 집회에서 독이 든 물을 사람들에게 나눠주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이것은 유권자를 분열시키려는 당의 공작으로 드러났다. 콩데 대통령은 특히 2015년 선거에서 선거인 명부를 조작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이곳에 진출해 있는 유럽연합 감시관이나 서구 대사들이 선거의 부정행위를 덮어 주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불법 선거가 자행되는 이유는 민족 간 세력 다툼과 아프리카에서 여전히 이익을 빼먹으려는 일부 서구 국가의 신탁 통치, 이로 인한 독재자들의 장기 집권이다. 남아공의 제이콥 주마 대통령은 2009년에 유럽군수방위업체와 무기 도입 사업을 하면서 횡령을 하고 프랑스 기업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법원에 기소되기도 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민주주의는 과도기에 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독재 국가를 꿈꾸는 일부 지도자로 인해, 발전적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염려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있는 것일까? 일부 전문가는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자꾸 헌법을 뜯어고치려 하지 말고, 최소한의 규정을 준수하며, 국민의 안녕을 우선시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전히 독재와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정부’라고 불릴 만한 체제 자체가 부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런 실천이 과연 가능할 것인지 의문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