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아프리카 동향

티그레이 사태와 아프리카 뿔 지역 문제-적대적 관계에서 우호적인 관계로 변화 ①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아프리카에서 가장 폭력적이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지역 정치가 국내 무질서 및 반란과 연결되는 경향도 한몫하고 있다. 다른 이유로는 외부 세력의 개입, 탈식민지화 이후 지역의 방향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에 관한 대한 격렬한 논쟁이 있다.   냉전 말기와 1990년대 대부분 기간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상호 불안정 활동의 파괴적인 역할로 악명이 높았더 보기…

에티오피아 티그레이 사태와 아프리카 뿔 지역 안보

아래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2018년부터 아프리카의 뿔(Horn of Africa) 지역은 일련의 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뉴스의 헤드라인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오로미아(Oromia) 지역에서 수년 간 격렬한 시위가 지속된 이후 2018년 4월 에티오피아에서 권력 이양이 이루어졌다. 그해 12월 수단에서는 반정부 시위가 시작됐다. 2019년 4월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가 쿠데타를 일으켜 이러한 상황은 절정에 달했더 보기…

19Aug/20
image01

러시아의 아프리카 진출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는 점차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에 대비하기 위해서, 러시아가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 백신에 관심을 보인다. 확인된 정보는 아니지만, 약 10억 명 분량의 백신을 주문받았다고 러시아 측은 전하고 있다. 아직 백신에 대한 의학적 결과가 나오지도 않았고, 세계보건기구도 러시아의 백신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그럼에도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러시아 코로나 백신을 구매하려 접근하고 있다. 대표적인 나라가 케냐다. 이는 2019년더 보기…

한국의 대아프리카 의회 외교 현주소

   한국 의회 외교는 제헌 국회 때부터 시작하여 6·25전쟁과 5·16 군사 정변 등의 혼란으로 잠시 중지되었다가 제3공화국이 들어서면서 본격화되었다. 의회 외교의 목적은 국회의원들의 외교에 관한 전문 지식을 통해 선진화된 외교 전략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특히 21세기 급변하는 세계정세에서 한 국가의 외교는 관계 부처인 외교부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기에는 상호작용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역부족이다. 따라서 의회 외교는 한편으로더 보기…

17Aug/20
Editorial-Cartoon-2

사법처리 과정에서 국가의 공정성

최근 에티오피아에서는 정치권의 다원성이 뒷걸음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중심에는 유명한 음악가이자 정치 운동가인 하찰루(Hachalu Hundessa) 암살 사건이 자리하고 있다. 이 사건 이후에는 폭력 사태가 잇달아 발생했다. 그 암살 사건뿐만 아니라 그 후의 폭력 사태도 어처구니없는 행위였다. 그 폭력 사태로 인해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자와르(Jawar Mohammed), 베켈레(Bekele Girba), 에스킨더(Eskinder N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