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아프리카 동향

아프리카 팜 오일의 미래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이한규    팜 오일은 아프리카 국가, 특히 대서양 연안의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1차 산품으로 수출 무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음식 조리(특히 도시에서)에서 빠질 수 없는 아주 중요한 기초 양념이다. 20세기 초에는 팜 오일은 플랜테이션 식민 경제를 통해 주요한 환금 작물이 되기 시작하였으며, 이 시기에 유럽은 20~30만 톤의 팜 오일을 수입하였다.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더 보기…

19Jun/13
cartoon130619

일자리 없는 경제 성장과 불법 이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설병수    에티오피아 총리 하일레마리엄 데살렌(Hailemariam Desalegn)은 각종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 매우 바쁜 듯이 보인다. 재무장관 수피안 아메드(Sufian Ahmed)는 ‘성장 및 변화 계획’(Growth & Transformation Plan, GTP)을 “영화 같은 것이 아니라 야심적인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대중과 정책 당국의 교차점은 불법 이민 문제이다더 보기…

19Jun/13
cartoon130619-1

아프리카의 빈곤 문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이한규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가 해외 원조, 식량 생산 기술의 개발, 인프라 개선, 교육 증대 등을 통해 빈곤을 해결하려 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빈곤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과거 제국주의의 영향, 아프리카 특유의 문화, 각종 질병, 부정부패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만평에서는 아프리카인들이 생각하는 빈곤의 가장 주된 문제는 지도자들이라는 점을 시사하더 보기…

청나일 강 개발을 둘러싼 국가 간 갈등과 협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설병수    인류의 역사 이래 자원 개발을 둘러싼 집단 간 갈등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최근 에티오피아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청나일 강(Blue Nile River)에 르네상스 댐(Great Ethiopian Renaissance Dam, GERD)을 건설하고 있다. 이 댐은 아프리카에서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댐을 둘러싸고 에티오피아, 이집트, 수단 간에는 여러 가지 더 보기…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탄자니아 방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양철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번 달 27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탄자니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세네갈 등 아프리카 3개국을 순방한다. 탄자니아 국민들은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순방 일정에 탄자니아를 포함시킨 배경에 커다란 관심을 갖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은 이번이 두 번째로 2009년 7월 가나를 방문한 바 있다.    우선 아프리카 순방을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방문으로 시작하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