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아프리카 동향

에티오피아, 무기류 밀수입 심각해

에티오피아 경찰이 불법 총기 및 탄약 밀수입이 국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 4개월 동안 2,500개의 이상의 총기와  13개 이상의 폭탄이 압수되었다.  압수 장소는 수도 아디스 아바바 (Addis Ababa)를 포함한 몇 개 지역이었다. 지난주 에티오피아 총리 아비 아흐메드(Abiyah Ahmed)는 사람들이 州들 간 경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총기를 구입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특파원들은더 보기…

19Oct/18
editorial-963-620

에티오피아 아비(Abiy) 행정부는 집권 여당과의 관계 재설정 필요

   아비(Abiy Ahmed)가 에티오피아 총리로 취임한 지도 6개월이 지났다. 그가 집권한 이래 대다수 국민은 새로운 희망을 품어 왔다. 지난 10월 초 에티오피아 대통령 물라투(Mulatu Teshome)가 국회에서 행한 연례 연설도 이러한 기조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는 연설을 통해 형사 사법 제도 개혁, 법과 질서 강화, 국제 수지 균형 맞추기 등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것은 자신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는 데 불과했다. 사실, 그간 아비더 보기…

아프리카 신부대(bride wealth) 관습의 쇠퇴

   신부대란 ‘결혼 시에 신랑 측이 신부 측에게 지불하는 재화’를 가리킨다. 신부대 관습의 기원은 기원전 3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를 비롯하여 메소포타미아, 히브리, 아즈텍, 잉카 등의 고대 문명에서 이 관습이 실행되었다. 1967년 조지 머독(George Murdock)은 1,167개의 전(前) 산업 사회에 관한 자료를 토대로 『세계 민족지 지도』(World Ethnographic Atlas)라는 저서를 발간했다. 이 저서에 따더 보기…

18Oct/18
chinafrique-1

Chinafrica 현실로 나타나는가?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는 경제발전 목표 달성을 위해 중국이 제안한 윈-윈 정책을 수용하는 편이다. 오래전부터 서구에게 착취를 당해 온 아프리카 석유와 광산 자원에 대해 현재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국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윈-윈이 아프리카 발전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아프리카는 아시아 다음으로 저렴한 노동력과 원자재 가격으로 중국의 인프라 및 건설 프로젝트 수출을 위한 두 번째 큰 시장이다.더 보기…

아프리카로 확대하는 중국의 One Belt and One Road(一帶一路)

   시진핑의 중국 대외정책 핵심인 OBOR은 2013년 발표되어 2016년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2049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8조 달러 이상의 투자가 예상되는 OBOR에 중국은 이미 8,900억 달러를 투자했다. 철도를 이용한 경제 벨트는 중국에서 스페인 마드리드까지 연결되고, 해상을 이용한 실크로드는 케냐 몸바사를 거쳐 이탈리아 베네치아까지 연결되는 중국 자본주의의 거대한 지리적 확장이다. 63개국 이상이 이 두 개의 벨트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