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 8일 치러진 남아공 총선 결과는 집권 여당인 아프리카민족회의(ANC)의 승리로 막을 내렸지만, 지지율이 현저히 하락하여 국민에게 준엄한 경고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ANC는 57.51%를, 제1야당인 민주동맹(Democratic Alliance: DA)이 20.76%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좌파 성향인 경제자유전사(Economic Freedom Fighters: EFF)는 10.79%를 득표해 3위로 올라섰다. 하원에서는 A더 보기…
<영화 2012>에서 보았던 것처럼 아프리카는 자연재해가 없는 대륙이지만, 올해 모잠비크를 강타한 2개의 열대성 저기압/폭풍으로 불리는 사이클론은 아프리카도 더 이상 안전한 곳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모잠비크는 최근에 자주 홍수를 경험하였지만 이다이(Idai)와 케네스(Kenneth)처럼 강력한 사이클론이 3월과 4월에 한 달 간격으로 연이어 피해를 준 적은 없었다. 유엔은 이다이를 “남반구를 강타한 최악의 기더 보기…
작성자: 강민정 작성일: 2019.5.16 요즘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쓰레기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에서도 쓰레기와 관련한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특히 플라스틱 폐기물과 관련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는 폐기물 관련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비닐봉지 금지 조치를 선언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부 차원의더 보기…
작성자: 장유진 작성일: 2019.5.10 아프리카 민족회의(ANC)는 경제와 토지 개혁에 대한 분노로 인해 득표차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끝나고 25년이 흘러, 여섯 번째 민주 총선에서 라마포사 대통령(Cyril Ramaphosa)은 투표를 마친 뒤, i사과의 말을 전했다. 그는 다시는 부패한 남아공을 볼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우리는 실수를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실수에더 보기…
커피는 농산물 세계 교역량 1위를 차지하는 상업 작물이다. 생산 지역과 소비 지역이 같은 작물과는 달리, 커피는 중남미, 동남아, 아프리카에서 주로 생산되어 유럽, 미국, 동아시아에서 대부분 소비되기 때문이다. 커피는 생산국 농민들에 소득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국에서도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한다. 브라질이 압도적인 생산량으로 세계 1위의 커피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탄자니아도 아프리카의 주요 커피 생산국이다. 19세기말 독일인이 킬리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