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아프리카 동향

19Oct/17
Cartoon_2010_adf

에티오피아의 사형 제도는 폐지될 것인가?

   비정부 기관인 세계사형폐지운동연합(World Coalition Against the Death Penalty)은 50여개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형 제도를 폐지하고자 노력해 왔다.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추정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1,000명 이상이 사형을 당했다. 모든 사람의 생명권을 인정하는 ‘시민권 및 정치권에 관한 국제규약’(ICCPR)은 사형 제도의 폐지를 제안하지만, 폐지를 위한 서명에 참여할 더 보기…

에티오피아의 외환 위기

   정치 불안과 이에 따른 폭력 시위로 인해 2016년 10월 에티오피아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비상사태가 해제된 것은 2017년 8월이었다. 하지만 에티오피아의 사회·정치적 불안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무 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는 하일레마리암(Hailemariam Desalegn) 총리에게 에티오피아 경제가 최고 상태에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하일레마리암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도 좋은 소식을 전해 들었다더 보기…

18Oct/17
Ghir_Hak_0ca32_afrique

아프리카 도시 인구 증가 심각하다

아프리카 도시 중 대부분은 19세기 유럽의 식민 지배 과정에서 건설되었고, 모든 발전은 식민 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 전후 독립을 맞이한 대부분 국가는 식민 도시의 기능과 구조를 그대로 수용하였지만, 도시 개발은 도시 인구 증가에 비해 더디게 진행되었다. 일부 국가에서는 제2의 도시를 건설했지만, 도시로 집중하는 인구를 분산시키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2010년 유엔 통계에 따르면 아프리카 도시 인구는 4억 명으로 전체 인구의 4더 보기…

한국의 공공외교와 아프리카

   21세기는 경제 냉전과 함께 문화 냉전의 시대이다. 10여 전 소프트 파워가 국제관계에서 점차 중요시되기 시작하면서, 국가 외교정책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비록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늦기는 했지만, 한국 정부는 2010년을 ‘공공외교 원년’으로 선포하였다. 또한 2016년 2월 ‘공공외교법’을 제정하고 8월 4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으며 공공외교 대사를 정식으로 임명하였다. 이로써 한국 정부는 정무외교, 경제외교, 공공외교의 3더 보기…

2017년 10월 6일 잠보 토픽: 더 나은 사회로의 디딤돌, 파업

안녕하세요. 한국외대 아프리카학부 학회 <잠보리카> 회원 오수진입니다. 케냐의 몇몇 주에서  간호사들이 파업 중에 있는데요. 이 파업을 통해  간호사의 처우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자 하는 케냐 사람들의 주체 의식과 노력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