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에티오피아 사무소의 담당자이던 미켈슨(Jan Mikkelsen)은 이 기관의 연보를 통해 에티오피아의 거시 경제적 성과를 면밀하게 검토했다. 그는 에티오피아의 개발 전략―특히 인플레이션 억제와 두 자릿수 성장―에는 독특한 장점이 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의 낙관론은 현실과 거리가 있었다. 모든 민간 은행은 연간 총 대출금 중 27퍼센트를 에티오피아 중앙은행(NBE)에 투자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규정이 제대로 이더 보기…
엠마누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최근 들어 아프리카 행보로 바쁘다. 전임 대통령 올랑드의 대 아프리카 정책의 실패로 현 정부의 아프리카 정책에 대해 유독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7월 8일 G20회의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아프리카가 문명적이고 인구학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하였다. 더불어 아프리카 한 여성이 7~8명의 아이를 낳기 때문에 아프리카 발전에 도움이 안 되다고 덧 붙였다. 물론 마크롱 대통령은 아프리카 여성의 인권과 권리를 말하고자더 보기…
1982년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는 역내 에너지를 공동으로 개발하려는 목적의 하나로,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이하 GAO)를 결정하였다. 1995년 9월 나이지리아, 베냉, 토고, 가나 4개국은 ECOWAS 프로젝트와 별개로 GAO에 합의하였으며, 1999년에는 MOU에 서명함으로써 GAO를 법제화하였다. 2003년 Gazoduc 착공에 전적으로 합의하여 2008년에 베냉, 토고, 가나로 연결되는 총 570㎞의 Gazod더 보기…
안녕하세요. 한국외대 아프리카학부 학회 <잠보리카> 회원 오수진입니다. 2017년 11월 18일 짐바브웨의 수도 하라레에 모인 수많은 시민은 군인들을 껴안으며 환호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왜 이러한 행동을 하고 있는 걸까요? 11월 22일 로버트 무가베의 사임이 결정되었지만, 아래의 기사는 11월 19일 기준이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7년 11월 14일 짐바브웨(Zimbabwe)에서 군부 쿠데타가 발생해, 지난 37년간 장기 통치한 로버트 무가베(Robert Gabriel Mugabe) 대통령을 가택 연금하고, 수도 하라레(Harare)를 장악한 사건이 발생했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 6일, 무가베 대통령은 차기 대통령으로 주목 받던 에머슨 음난가그와(Emmerson Mnangagwa) 부통령을 경질했다. 이에 군부는 93세의 독재자가 대통령직을 자신의 아내인 그레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