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아프리카 동향

남북 수단 대통령 간의 비무장지대 합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금상문    수단 오마르 알-바쉬르(Omar al-Bashir) 대통령과 남수단 살바 키이르(Salva Kiir) 대통령은 안전보장, 석유와 국경에 대하여 합의를 하였다고 카타르에 본부를 둔 알자지라방송은 2013년 1월 6일 보도하였다. 남수단은 1년 전에 하루 35만 배럴을 생산하는 주바 유전을 폐쇄하였기에 남북 수단 양측이 돈에 궁해졌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남수단에 있는 유전지대에서 생산하는 더 보기…

‘목 마른’ 아프리카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김광수    코뿔소의 뿔 모양을 하고 있어 ‘아프리카의 뿔’이라 불리는 소말리아 반도의 에리트리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지부티, 케냐 지역이 60년 만에 찾아온 최악의 가뭄으로 고통 받고 있다. 2012년 1월 약 1,000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200만 명 이상의 어린이가 영양실조에 걸리고 있어, UN에서도 8억 달러 상당의 구호물자를 공급하고 있지만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더 보기…

아랍마그렙연합(AMU) 공동은행 출범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금상문    아랍마그렙연합(AMU, 프랑스어로는 UMA: Union du Maghreb Arabe)은 1989년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리비아, 모리타니아 등 북부 아프리카에 있는 5개국에 의하여 모로코의 말라케시에서 출범되었다. 이후 AMU에 1994년 알제리 수도 알제에서 열린 아랍마그렙연합 외무장관 회의에서 이집트가 정식으로 가입이 되지는 않았지만 공식적으로 참가를 허용하였다.    아랍마그더 보기…

19Jan/13
cartoon130119E

나는 이집트인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금상문 <사람 복근에 “나는 이집트인이다”라고 쓰여 있다.>    이집트에서 무르시 대통령의 취임 이래 2013년 1월 2일 헤샴 칸딜 총리아래서 첫 새 내각의 구성이 발표되었다. 헤샴 칸딜 이집트 신임 총리는 이집트 장관급 인사 35명으로 구성된 내각을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 28명이 새로 임명되었다. 무바라크 전 대통령 시절의 국방장관이었던 탄타위 장관과 카말 간주리더 보기…

이집트 민주화 혁명 이후 : 이슬람에 의한 겨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금상문    이집트는 민주화 혁명이후 무바라크 대통령에서 무슬림형제단 출신 무르시 대통령으로 국가원수가 바뀌었다. 2011년 이집트 혁명(이집트 아랍어: ثورة مصر سنة 2011)은 2011년 1월 25일부터 2월 11일까지 진행되었던 이집트의 장기 집권 대통령인 호스니 무바라크의 퇴진을 요구하며 벌어진 반독재 정부 시위의 결과이다. 일단 무바라크 대통령이 물러간 이후 국민들이 무르시를 이집트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