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뉴스브리핑 작성팀

UN 국제인구개발회의: 아프리카 여성 할례와 조혼 문제 논의

15Nov/19

작성자: 유하영/아프리카학부    작성일: 2019.11.15

   지난 11월 12일 화요일,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UN 국제인구개발회의(ICD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가 개최되었다. 이 회담에서 케냐 대통령 우후루 케냐타(Uhuru Kenyatta)는 2022년까지 여성 할례를 금지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그는 “조혼은 소녀들이 교육을 통해 그들이 갖고 있는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빼앗으며, 소녀들의 사회·경제적 활동에 제약을 주기 때문에 조혼 역시 금지할 것”이라고 했다. 3일 동안 열린 정상 회담에서는 여성의 권리, 성적 권리 및 교육과 가족 계획에 참여할 권리를 신장시킬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여성 할례를 비롯한 조혼 문제는 아프리카에서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유엔인구기금(UNFP: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은 아프리카에서 매일 800명 이상의 여성이 임신과 출산 중에 사망하고 있으며, 결혼을 강요받는 소녀는 약 33,000명에 달한다고 말했다. 2019년 전 세계에서 18세 이하에 결혼한 소녀는 약 천만 명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케냐타의 발언이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개인이나 여성의 권리가 억압받는 전통문화가 정치화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로 인해 여성의 성적 권리나 임신, 피임과 같은 주제는 금기시되거나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 할례와 조혼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케냐 뿐만 아니라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여전히 조혼과 할례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도 어린 소녀들이 결혼으로 인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으며, 할례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여성의 수도 적지 않다. 사실상 문화적인 배경에서 비롯한 사회 문제는 신속하게 해결되기 어렵다. 오랜 시간 이어져 온 관습을 단순히 금지만 한다고 해서 하루 아침에 바뀌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케냐타가 2022년까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지 잘 지켜봐야 할 것이다. 특히, 단순히 표심을 얻기 위한 ‘보여 주기식 행보’가 아닌지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또한 세계 곳곳에서 여성의 권리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상 회담을 통해 아프리카도 그 흐름에 합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 여성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인식 역시 높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케냐타의 약속을 통해 많은 여성이 더 이상 조혼과 할례로 인해 목숨을 잃거나 고통받지 않기를 바란다.

참고 자료: https://www.aljazeera.com/news/2019/11/africa-summit-explores-progress-issues-affecting-women-191114153221333.html

에티오피아에서 등장한 100번째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

11Oct/19

작성자: 유하영/아프리카학부    작성일: 2019.10.11

   지난 10월 11일, 에티오피아의 수상 아비(Abiy Ahmed)가 노벨 평화상의 100번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아비는 지난해 집권 이후 국가 통합과 평화를 위해 애쓴 정치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라어로 연설하였는데, 민주주의는 물론 개혁을 통해 오랫동안 억압받던 사람들의 해방과 분쟁의 종결을 약속했다.

   지난 해 6월, 그는 1993년 에티오피아에서 독립한 인접 국가인 에리트레아와 화해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이 합의를 통해 약 20년 동안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던 분쟁이 종식되었다. 또한 아비는 협상 과정에서 에리트레아 대통령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Isaias Afwerki)를 돕기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와 단절되었던 관계를 회복하고 재정적 원조를 얻어냈다. 평화적인 합의가 체결된 후 가족과 친구들이 재회하고, 국경 간 무역이 증가했다. 노벨위원회 위원장 베릿 라이스-안데르센(Berit Reiss-Andersen)은 “아비가 평화와 국제적인 합의를 이끌어냈고 그의 결단력을 통해 에리트레아와의 분쟁을 해결했다는 점을 높이 사서 그를 노벨 평화상에 선정했다”고 말했다. 덧붙여 아비가 올해 초 수단에서 발생한 민주주의 시위자들과 군부대 사이 권력 분할에서 중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점을 칭찬했다.

   아비는 정치범들을 석방하고 공정 선거를 약속했으나, 아비의 행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아비의 임기 전부터 종족 갈등으로 많은 사람이 집을 잃고 흩어져 살고 있다. 사실상, 이에 대한 아비 정부의 대응은 늦었으며, 분쟁으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응하기보다 국제 여론을 의식해 정부의 이미지 제고에 집중했다. 정부의 미온적 대처로 인해 실향민들은 몇 달 동안 원조를 받지 못했으며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지역으로 다시 돌아가야 했다. 따라서 아비의 대응이 더 많은 폭력과 빈곤이 만연하는 데 기여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아비의 노력이 에티오피아에 평화를 가져다준 것은 분명하다. 외교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데는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평화적인 협상이 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합의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아비가 협상 전략을 잘 짰으며 협상 기술을 잘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외교 관계에서는 무력보다는 합의를 통한 문제 해결이 바람직하며, 각국의 이익을 고수하면서도 강제적 합의 체결은 피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아비가 에리트레아와의 오랜 분쟁을 총이나 폭탄, 군부대를 동원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해결했기 때문에,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으로 선정되었다는 점에는 반박할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아비가 여전히 남아 있는 국내 문제들을 어떻게 잘 해결해 나갈지 주목해 봐야 할 것이다. 노벨 평화상 수상 이후에도 그가 보여 주기식 정치가 아닌 에티오피아에 지속적인 평화를 가져다 주길 기대해 본다.

참고자료: https://www.economist.com/middle-east-and-africa/2019/10/11/assessing-abiy-ahmed-winner-of-the-nobel-peace-prize

https://news.joins.com/article/23601717

 

짐바브웨에 다시 찾아온 인플레이션 바람

07Oct/19

작성자: 유하영/아프리카학부    작성일: 2019.10.8

   지난 8월, IMF(국제통화기금, International Monetary Fund)는 짐바브웨의 물가 상승률이 연간 약 300%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준은 남아프리카 지역 내 국가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짐바브웨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97.85%를 기록하였고 다음 달인 6월에는 175.66%를 기록하면서 점점 증가하고 있다. IMF의 대표인 레온(Gene Leon)은 짐바브웨가 지금 심각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레온은 최근 직원 모니터링 프로그램(Staff Monitored Program, SMP)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대표단의 일원으로, SMP는 짐바브웨 위원회를 재구성하고 경제 활동을 측정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위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IMF의 자금을 해제하는 것이다. 또한 레온은 “2월부터 진행된 화폐 개혁으로 환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8월에는 거의 300% 증가율을 보이며 높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짐바브웨는 9월 23일 달러 기준 환율은 1:16.5의 비율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 7월, 짐바브웨의 경제부 장관인 음툴리 누베(Mthuli Ncube)는 통계청이 연 물가 상승률 수치를 공개하는 것을 금지하였는데, 대신 새로운 가격을 측정을 한 뒤에 2020년 2월에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짐바브웨의 이러한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10년 전인 2009년 11월에 월 89.7%의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으며, 이때는 그 다음 해에 자국 화폐를 포기하고 미국 달러를 채택하면서 마무리되었다. 하라레에서 핸드폰과 USB 케이블을 파는 상인인 첸제라이 바루구(Chenjerai Varugu)는 높은 물가 상승률로 인해 힘든 삶을 살고 있다고 말했다. “불경기 때문에 음식을 사는 것조차 어려워졌습니다. 빵을 사기 위해서는 10달러가 필요하고 모든 생필품의 가격이 오르고 있어요.” 환율이 안정적이었을 때 빵을 1달러에 구입할 수 있었던 상황과 비교한다면 매우 높은 가격이다. 레온은 심각한 상황으로 인해 국가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 악화되고 있다고 말하며, 2019년에 짐바브웨에서 생산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가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짐바브웨가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은 무가베(Robert Mugabe) 정권 시절 정부가 화폐를 대량 발행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부터 2017년까지 무가베가 대통령으로 집권할 당시, 정부의 토지 개혁 등으로 인해 경제 위기를 겪었다. 무가베는 국민의 불만과 시위를 잠재우기 위해 화폐를 대량으로 찍어냈는데, 이로 인해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무가베의 집권 이후에 음낭가와(Emmerson Mnangawa) 대통령이 다시 국가 경제 재건을 목표로 올해 2월 짐바브웨 달러를 도입하였는데, 이때 역시나 대량으로 화폐를 발행하는 바람에 현지 화폐의 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하였다. 또한 최근에 발생한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는 정부 부패와도 관련이 있다. 정부가 유착 관계에 있는 기업에 국채를 대량 지급했는데, 국채 상환금을 충당하기 위해서 화폐를 많이 찍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짐바브웨처럼 대통령이 오래 집권하거나 정부의 역할이 큰 경우에는 정부의 부패가 곧 국가의 경제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짐바브웨의 상황은 정부의 부패가 오래 지속될 경우 심각한 경제 붕괴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베네수엘라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짐바브웨가 2009년처럼 다시 미국 달러를 채택할지, 새로운 제도를 개혁하여 해결해 나갈지 주목해봐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자료:

https://www.aljazeera.com/ajimpact/imf-zimbabwe-highest-inflation-rate-world-190927004536305.html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909279825i

우간다와 르완다의 평화를 향한 발걸음

22Sep/19

작성자: 유하영/아프리카학부    작성일: 2019.9.22

   지난 9월 16일 아침, 르완다와 우간다의 각 정부 관료들이 두 국가 간에 계속 발생하고 있는 관계의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키갈리에서 만남을 가졌다. 이 만남은 지난 달 앙골라의 루안다에서 합의된 협정의 연장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East African Community)의 수상인 올리버 은두후은기레헤(Amb. Olivier Nduhungirehe)는 르완다 대표단을 이끌었고, 외국 수상인 샘 쿠티사(Sam Kuteesa)는 우간다 측을 이끌었다. 르완다 측은 위원장인 프랭크 무가음바게(Frank Mugambage) 소장과 국가정보보안센터의 칼리바타(Anaclet Kalibata) 소장 등으로 구성되었고, 우간다 측은 위원장인 올리버 워네카(Oliver Wonekha)와 법무부장관 윌리엄 브야루한가(William Byaruhanga) 등으로 구성되었다. 두 국가는 협의를 체결하기 위해 두 나라 모두에게 중립적 입장을 보이는 앙골라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만남을 가졌다. 루안다 협정에는 르완다의 폴 카가메(Paul Kagame) 대통령과 우간다의 요웨리 무세베니(Yoweri Museveni)가 두 국가 사이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르완다는 우간다의 수도인 캄팔라에서 르완다 사람들을 정당하지 않은 근거로 체포한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고, 우간다 정부는 르완다 정부가 범죄자들을 오히려 옹호하고 있다는 입장이어서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루안다 회의 이후, 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 협정이 두 국가 관계에 즉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나 현재까지는 이행되지 않고 있다. 앙골라 협정은 인접 국가들의 자주권을 존중해주어야 하며 국가 상황을 불안정하게 하고 파괴하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우간다와 르완다는 분쟁으로 인해 국경폐쇄 등 외교적으로 긴장된 관계를 지속해왔다. 서로 인접해 있을 뿐 만 아니라 르완다 내전으로 인해 많은 르완다 난민들이 우간다로 망명했기 때문에 두 국가는 밀접한 관계에 있을 수밖에 없었다. 아프리카가 민주주의를 이루었다고 하지만 아직도 몇몇 국가들은 군부대에 의해 정치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반군 세력 역시 존재하고 있다. 르완다와 우간다의 경우에도 두 국가 사이의 관계가 악화된 결정적인 이유는 우간다가 르완다의 카가메 대통령에 대항하는 반군들을 지원하고 영토에 숨겨주었다는 르완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오히려 우간다는 르완다 군인들이 무자비하게 민간인들에게 폭력을 행사하였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희망적인 것은 두 국가가 폭력을 행사하지 않고 협상과 대화라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앙골라 협정의 시행으로 각 나라에 평화의 햇빛이 곧 내리쬘 것을 기대해본다.

출처: https://allafrica.com/stories/201909160231.html;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51218/

튀니지 난민선 참사, 생존을 위한 최후 선택의 결말

03Jun/19

작성자: 임민주/아프리카학부    작성일: 2019.5.13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튀니지의 수도 튀니스 인근 해안 스팍스(Sfax)에서 난민 70여 명을 태운 선박 한 척이 침몰하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현지 시간 기준으로 5월 10일, 튀니스 남쪽으로 약 230㎞ 떨어진 스팍스 근처에서 난민선이 전복되어 수십 명이 목숨을 잃었다.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이번 난민선 참사의 사망자 수는 보도 매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난다. 유엔난민기구(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는 이번 사고로 최소 6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밝혔지만, 튀니지 현지 언론은 70명이 물에 빠져 숨졌다고 보도했다. BBC는 최소 50명이 사망하고 생존자는 16명에 불과하다고 알렸다. 일부 언론에서는 승선 인원이 더 많았다는 보도도 나왔다. 난민선에 탑승했던 사람들은 지난 5월 9일 저녁, 리비아의 수도인 트리폴리(Tripoli) 서쪽 항구 도시 주와라(Zuwarah)에서 출발하여 유럽으로 향하다가 높은 파도에 휩쓸렸다. 튀니지 정부 또한 본 난민선이 리비아 주와라에서 출발했음을 파악하고 있었으며, 국방부의 성명을 통해 사건 발생 사실이 보고되자마자 해군을 급파했다고 밝혔다. 난민선 참사의 생존자들은 사고 현장 근처에 있던 어선들에 의해 구조된 뒤, 곧바로 튀니지 해군에 인계되었다. 그중 한 명은 치료를 위해 즉시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나머지는 상륙 허가를 받기 위해 대기 중이다. 유엔난민기구는 이번 튀니지 난민선 참사가 지난 2019년 1월 리비아 난민을 태운 고무보트 침몰 사고 이후, 가장 큰 인명 피해를 유발한 사건이라고 밝혔다. 리비아의 경우, 아프리카 난민 120명을 태우고 리비아 연안에서 유럽으로 향하던 고무보트가 침몰하여 승선자 120명 중 117명이 숨지거나 실종된 바 있다.

   이처럼 매년 아프리카에서는 경제난을 피해 지중해를 건너는 난민이 선박 사고로 목숨을 잃는 참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수천 명의 이민자가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향하지만, 이때 이용하는 선박들이 잘 유지·보수되지 않은 데다 인파로 붐벼 지중해에서 목숨을 잃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2019년 1월 UN이 발표한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을 기준으로 지중해를 건너다 사망한 이민자의 수는 하루에 6명이었으며, UN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는 2019년 1월부터 4월까지 지중해를 건너 이민을 시도한 25,451명 중 443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대하여 유엔난민기구 지중해 담당 특사인 뱅상 코슈텔(Vincent Cochetel)은 “이번 튀니지 난민선 참사는 지중해를 건너려고 하는 이들이 여전히 직면한 위험을 비극적이고 끔찍한 방식으로 상기시켰다”고 말했다.

   필자는 이번 튀니지 난민선 참사에 대하여, 벼랑 끝에 내몰린 그들이 생존을 위해 택했던 최후의 수단이자 비극적 결말이라고 생각한다. 배가 침몰하는 그 순간까지 해안 경비대에 체포되지 않으려고 배를 버리고 바다에 뛰어드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는 사실이 더욱 참담할 따름이다. 튀니지를 포함한 아프리카 난민의 선박 사고는 이제 ‘국가적 재난’ 수준을 넘어 ‘국제적 재난’에 이르렀다. 유럽연합(EU)과의 협상 타결 이후 지중해를 건너려는 난민들이 한때는 급감했지만,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정부와 국제기구의 관심과 도움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이다. 궁극적으로는 아프리카의 경제난 해소와 국민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가 협력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출처: https://www.bbc.com/news/world-africa-48224793

https://edition.cnn.com/2019/05/10/africa/migrants-drown-tunisia-coast-intl/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