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임기대 HK연구교수

‘베르베르의 봄’ 발생 36주년과 알제리의 다문화 요구

20May/16

   영국의 한 경제연구소 Economist Intelligence Unit(2016.4.28.)는 2015년 전 세계 국가의 민주주의 지표 순위를 발표하였다. 마그레브 지역에서는 튀니지가 57위를 차지하면서 가장 인권이 앞서 있는 나라로 발표되었다. 모로코가 102위, 알제리가 118위를 차지하여 알제리 내 인권 문제 등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알제리 정부는 오랫동안 이 문제에 대해 노력을 해 온 터라 이번 발표에 대해 수긍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알제리 베르베르어권에서는 이것이 현재 알제리가 처해 있는 현실임을 직시할 것을 요구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번 발표가 1980년 알제리 정부의 아랍화 정책에 맞서 카빌인이 들고일어난 ‘베르베르의 봄’(Berber Spring)과 같은 시점이라, 베르베르인은 알제리의 민주화와 소수어 문화 보호, 인권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특히 베르베르어의 공식어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알제리를 달구고 있다.

   2002년 베르베르어가 알제리의 국어(national language)로 인정되어 베르베르어 문화가 어느 정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나아진 것이라곤 그저 문화유산으로서 베르베르어의 존재를 인정할 뿐 실질적인 차원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아 베르베르인의 불만이 쌓여 있었다. 2014년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4선 공약에도 미동도 하지 않던 공식어(official language) 공약이 올해 들어 알제리 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급기야 헌법 개정(3조 3항)을 통해 ‘알제리의 언어는 아랍어와 베르베르어이다’라고 선언하였고, 의회 통과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2016년 1월 헌법위원회 심의를 거쳐 개정될 것으로 기대된 이 안은 지금까지 통과되지 않고 있다. 베르베르어 장려 정책을 더 활성화시킬 것을 요구하는 베르베르인의 요구가 4월과 5월 ‘베르베르의 봄’을 추모하는 기간을 맞이하여 그 어느 때보다 거세게 일고 있는 이유이다.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불안한 자국 내의 현 상황, 그리고 테러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경지대 문제까지 더해져 알제리를 비롯한 마그레브 베르베르인의 다문화 요구가 어떻게 전개될지 그 어느 때보다 주목된다.

다에쉬에 가장 많이 가입한 지하디스트가 프랑스인?

17Mar/16
noname01

전 세계 국가 중 이슬람 국가(IS), 즉 다에쉬(Daech)에 가장 많은 지하디스트를 제공하는 국가가 프랑스라고 한다. 지하디스트로 활동하는 사람의 이름으로만 확인된 것이긴 하지만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시리아를 비롯하여 마그레브 국가 튀니지와 리비아가 가장 많은 지하디스트를 배출하고 있다고 알려진 것과 달리, 프랑스가 거론되었다는 것은 프랑스 내 무슬림 이민자의 2, 3세대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들은 자신이 사는 나라에서 차별 대우를 받으며 살아왔다. 실제로 무슬림 청년 실업률은 전체보다 2~3%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프랑스 사회 분위기가 이들에게 호의적이지 않고 있어, 무슬림 청년들의 소외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 주류 사회에서 배척된 이들이 외부에서 정체성을 찾으려 다에쉬에 가입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중동이나 마그레브 지역의 테러 집단에 이들의 가입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이다.

 

 

만평 발췌 : Tout sur l’Algérie 2016.03.12

 

서사하라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해결하기 위한 UN의 노력

17Mar/16

   아프리카 서북부 국가를 방문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3월 2일 부르키나파소, 4일 모리타니에 이어 5일에는 서사하라 난민촌을 방문했다. 이어 7일까지 알제리 수도 알제를 방문하여 리비아와 튀니지에서 벌어지는 테러에 맞서 알제리의 적극적인 협력도 요청했다.

   서사하라는 1975년 스페인의 식민 통치 종식 이후 모로코와 모리타니의 분할 통치를 받게 되면서, 서사하라 원주민인 샤하라위족 반군 단체 폴리사리오(Polisario) 해방전선이 사하라 아랍민주공화국을 선포하고 게릴라전을 펼치고 있는 곳이다. 남부지역을 합병했던 모리타니는 1977년 분할 통치를 포기했지만, 모로코는 대부분 지역을 강점한 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알제리는 폴리사리오 해방전선의 임시 정부를 자국 내에 둘 수 있게 해주면서 모로코와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양국 간 국경 폐쇄도 서사하라 문제와 연관이 많다.

   UN의 중재로 1991년 휴전이 성사됐지만, 모로코는 독립 여부에 대한 UN의 제안을 거부하고 자치권만 부여한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반기문 총장의 알제리 내 난민촌 방문은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반영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즉 폴리사리오 주민들의 자기 결정권이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는 UN의 기존 입장을 언급하면서 모로코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모로코에서 반기문 총장에 대한 시위가 거세게 일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테러와의 전쟁에 대해서는 알제리의 중요성을 무엇보다 강조했다. 알제리 부테플리카 대통령과의 면담을 통해 리비아, 말리, 튀니지 등 마그레브에서 발생하는 테러에 대해 알제리의 중요성과 그동안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FP 등 언론과의 기자 회견에서 “테러와 싸울 때 군사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때도 있지만, 애초의 위기관리는 정치적인 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고 밝힘으로써, 알제리가 중재하는 포괄적인 대화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했다. 반기문 총장은 리비아 상황에 대해 전쟁 범죄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했고, IS의 확산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번 방문은 마그레브 지역의 안정을 위해 알제리의 중요성을 인정한 것으로, 역내 안정을 위해 알제리가 중요한 협상 중재국임을 인정한 셈이다. 하지만 지역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잘 감당해 내기 위해서는 알제리의 민주주의 신장, 정치 경제적 안정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반기문 총장은 강조했다.

2015년 사하라 사헬 지대에서 가장 안전했던 국가는?

18Jan/16

   분쟁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래 위험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Armed Conflict Location and Event Data Project (ACLED)의 보고서가 지난 1월 12일 출간되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아프리카에서는 2015년 한 해 동안 사하라 사헬 지대에서 테러가 많이 발생했지만, 의외로 가장 안전한 국가로 알제리를 꼽고 있다. 통계 분석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분석으로 보이며, 이 보고서는 테러 통계를 통해 향후 50% 정도의 테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소프트 타깃(Soft Target) 테러가 빈번한 최근 테러의 속성상 한계가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어 보인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아프리카 전체 54개 국가에서 사망자를 낸 테러 발생이 4,523건으로 수집되었다. 이슬람국가(IS)에 충성을 선언한 테러 집단의 활동으로 많은 테러가 발생했고, 마그레브 국가에서는 969건의 테러리스트 공격이 수집됐다. 이 중 이집트가 474건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리비아에서 410건의 테러리스트 공격이 수집되었다. 이 국가들의 공통점은 <아랍의 봄> 이후로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며, 수천 명의 사망자 중 가장 많은 희생자는 치안군, 시민, 외국인 순이다. 치안군 희생이 가장 많은 국가는 리비아인데, IS가 공공기관을 집중적으로 공격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튀니지의 경우는 알카에다 마그레브 지부(AQIM)와 이슬람국가(IS) 간의 경쟁적인 테러 공격이 눈에 띈다고 보고서는 언급하고 있다. 튀니지는 테러 공격이 수집된 것과 달리 테러 발생으로 직접 희생자를 낸 사건은 36건이다. 말리의 경우 96건의 테러가 발생하여 300명 이상의 희생자가 생겼다. 희생자의 대부분은 외국인과 말리 군인이었다. IS의 영향을 받는 리비아와 튀니지와는 달리 대부분 AQIM 계열의 테러 집단이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알제리는 사하라 사헬 지대에서 가장 안전한 국가로 집계하였다. 43개의 테러 공격이 있었지만, 대형 테러가 발생하여 국가적 위기 상황으로 간 사건은 없었다. 그만큼 국가 차원에서 테러리스트, 테러 집단 등을 잘 관리하고, 치안에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는 증거가 될 것이다. 하지만 통계 수치만을 지나치게 신뢰하여 자칫 예측 가능하지 않은 테러 발생의 변수를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알제리는 여전히 마그레브 및 사하라 사헬 지대에 테러 집단을 내보내는 제 1의 국가이다. 본국에서 활동하지는 못하지만, 대부분의 테러 집단 지도자들이 알제리에서 조직되어 사하라 사헬 지대로 확장되어가기 때문이다. 알제리에서 테러 공격이 적게 발생했다고 안심할 수 없는 이유이다.

예상치 못한 결정에 당혹해 하는 알제리인

18Jan/16
noname01

   새해 들어 알제리 사회가 요동치고 있다. 정치,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 알제리 사회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치의 경우 대통령 임기에 대한 새로운 헌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중병이 장기화됨에 따른 요구일 것이다. 경제 상황은 국가 재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유가 하락이 지속되고 있어 경제에 대해 전망하기가 어려워 보인다.

   알제리 사회의 경우 소수 민족인 베르베르인의 요구가 거센 상황에서 정부는 헌법 개정 초안에 타마지그트어의 공식어 표기를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게다가 알제리 출신 프랑스 국가대표 축구선수 지단이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감독이 된 것도 알제리인에게는 예기치 못한 것이다. 새해 알제리에서는 헌법 개정을 하겠다는 대통령의 약속으로, 예기치 못한 결정들이 많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마냥 기뻐만 할 수도 없는 일이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출처: El Watan 2016.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