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관리자

열대 저기압 조안니나(Joaninha)의 로드리게스(Rodrigues)섬 강타

28Mar/19

작성자: 장유진    작성일: 2019.3.27

   열대 저기압 조안니나(Joaninha)가 인도양에 위치한 로드리게스(Rodrigues)섬을 강타했다. 거센 바람과 폭우가 모리셔스에서 동쪽으로 650㎞ 떨어진 화산섬인 로드리게스를 덮쳤다. 약 40,000명이 사는 것으로 알려진 이 섬에서 불과 80㎞ 떨어진 곳까지 폭풍의 눈이 근접했다. 조안니나는 시간당 15킬로미터 정도의 아주 느린 속도로 이동하며 로드리게스섬을 지속적으로 맹공격하고 있다. 북부 해안인 포트 마투랑(Port Mathurin)에서는 33시간 이상 동안 시간당 100㎞가 넘는 거센 바람이 불었다. 이 저기압의 중심부에서는 시간당 250㎞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열대 저기압으로 인한 피해는 여전히 집계 중인데, 피해 규모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안니나는 올해에 이 섬을 스쳐간 열대 저기압 중 두 번째로 크다. 2월에 조안니나와 비슷한 크기와 세기를 가졌던 젤레나(Gelena)는 이 섬 가까이 지나가면서, 이 섬의 전기 설비 중 90퍼센트를 파괴했다.  이때의 피해액은 약 1백만 달러로 추정된다.

출처: https://www.aljazeera.com/news/2019/03/tropical-cyclone-joaninha-slams-indian-ocean-island-rodrigues-190327091423484.html

시에라리온, 강간과 성폭력으로 비상사태 선언

11Feb/19

작성자: 강성윤    작성일: 2019.2.11

   시에라리온에서 지난 1년간 강간 및 폭행 사건이 두 배로 증가함에 따라 성폭력 및 성차별 폭력에 대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줄리어스 마다 비오(Julius Maada Bio)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한 국민의 항의가 빗발치는 가운데 지난 7일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미성년자에 대한 성범죄는 전체 사건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비오 대통령은 이를 종신형으로 처벌하겠다고 발표했다. 운동가들은 현행법상 많은 성범죄 사건이 처벌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지난해(2018년) 시에라리온의 성범죄는 8,500여 건을 기록했다. 이는 2017년에 비해 약 4,000 건이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성범죄의 급증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다.

   비오 대통령은 미성년자에 대한 성범죄를 종신형으로 처벌하는 것에 더불어, 성폭력 신고를 조사하는 전담 경찰 부서 구성과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특별사법재판소 구성도 발표했다.

   삼촌의 폭행으로 인해 다섯 살 여아의 신체 일부가 마비되는 등 일련의 사건이 세간의 이목을 끌면서 여성 성범죄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었다. 운동가들은 신고 및 기소 사례가 매우 적다고 말한다. 강간죄의 경우 5년에서 15년의 징역이 선고되지만 그 마저도 집행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작년에 56세 남성이 6살 여아를 강간한 사건에서는 고작 징역 1년이 구형되었다.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위해 일하는 여성 변호사단의 회장 파트마타 소리(Fatmata Sorie)는 대통령의 선언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성폭력 관련 자료가 전국의 몇몇 센터에서만 수집되었기 때문에 불완전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지역 공동체에 기반한 전국적인 성폭력 관련 자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강간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성범죄는 시에라리온 내전이 발생한 1991년과 2002년 사이에 널리 확산되었다.

출처: https://www.bbc.com/news/world-africa-47169729

 

미국과 영국, 나이지리아 총선에서 폭력을 선동하는 이들에게는 비자 거부할 것이라 밝혀

28Jan/19

작성자: 강성윤    작성일: 2019.1.28

    미국과 영국은 공동 성명을 통해, 2019년 나이지리아 총선에서 폭력 및 부정행위에 가담하는 사람들은 비자 발급이 거부될 것이라 전했다. 영국 정부는 24일 목요일 공동 성명에서 투표 참관인이 투표소와 소셜 미디어를 감시할 것이며,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은 기소될 것이라 말했다. “우리는 그러한 시도가 개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을 모든 나이지리아 국민에게 알리고 싶다. 이런 영향은 영국에 여행할 수 있는 자격과 영국 기반 펀드에 대한 접근 권한 박탈 또는 국제법에 따른 기소 조치 등을 포함한다.”

   미국 정부는 여행 규제가 가족 구성원에게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평화로운 2019년 선거 실시가 나이지리아 뿐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에 중요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그 성명에서 “우리, 그리고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은 선거의 모든 과정에서 민주적 절차를 방해하거나 폭력을 선동하는 개인의 행동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우리는 선거와 관련하여 폭력을 행사하거나 민주적 절차를 파괴하는 이들에게는 비자 제한을 포함한 처벌을 망설이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미국과 영국은 자신들이 나이지리아의 민주주의를 위해 계속 헌신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인이 투표를 통해 자신들의 지도자를 선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프리카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이지리아의 시민들은 2월 총선에서 투표할 것이며, 정당들은 유권자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전국적 캠페인을 시작했다. 앞선 선거들에서는 투표권 매입과 당원들의 폭력에 대한 의혹이 만연했다. 지난해 9월 미국의 투표 참관인이 나이지리아 남서부 오순(Osun)州에서 주지사 선거를 감시했으며, 선거 과정에서 유권자들의 위협과 방해를 목격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달 초 나이지리아 집권당에서 벌어진 싸움으로 인해 최소 3명이 칼에 찔렸고 수십 명이 부상을 입었다. 작년 12월, 정당 지도자와 대통령 후보들은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지지를 약속하면서 평화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
 

출처: https://edition.cnn.com/2019/01/25/africa/nigeria-election-violence-warning-intl/index.html

세네갈, 흑인 문명 박물관(Museum of Black Civilizations) 개관

12Jan/19

작성자: 강성윤    작성일: 2019.1.8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Dakar)에 있는 흑인문명 박물관(Museum of Black Civilizations)이 지난달 공식 개관식을 마치고, 1월 2일 마침내 대중에게 개방되었다. 4층으로 된 이 건축물은 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예술 소장품 장소 중 하나이며, 18,000점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다.

   박물관 개관은 식민 시대 동안 유럽 국가들이 약탈한 아프리카 예술품을 반환해야 한다는 세계의 요구 속에 추진되었다.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Emmanuel Macron)이 의뢰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파리의 케 브랑리 박물관(Musee du Quai Branly)에서 본 국으로 반환되어야 할 예술품이 46,000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ttps://www.voanews.com/a/senegal-opens-museum-of-black-civilizations-to-public/4728506.html

콩고민주공화국 선거: 시위대, 베니(Beni) 소재 에볼라 센터 습격

29Dec/18

작성자: 강성윤    작성일: 2018. 12. 28

   콩고민주공화국의 일부 지역에서 대통령 선거가 연기됨에 따라 화가 난 시위대가 에볼라 치료 센터를 습격했다. 보건부(health ministry) 대변인 제시카 룽가(Jessica llunga)는 시위자들의 공격으로 일부 텐트가 불에 탔으며, 테이블과 의자를 도난당했다고 전했다. 또한 에볼라 센터에 있던 사람들 중 11명은 정신적 외상을 입었다.

 이들이 습격한 곳은 동부 도시 베니(Beni)로 투표 연기에 반대하는 세 곳 중 하나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최근 에볼라 발생 등을 이유로 들며 투표를 연기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야당은 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를 조작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해 왔다.

   베니 市를 비롯하여 동부의 부템보(Butembo) 市에서도 투표가 3월까지 연기되었다. 또한 서쪽의 윰비(Yumbi)에서도 투표 일정이 연기되었다. 이에 따라 백만 명 이상의 표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BBC와의 인터뷰에서 카빌라(Joseph Kabila) 대통령은 최종 결과가 공표될 때까지 투표를 연기하는 것은 합법적이라 주장하였다.

   벨기에서 독립한 1960년대 이래로 콩고민주공화국의 권력 이양은 평화롭고 민주적이지 않았다. 2001년부터 재임해 온 카빌라는 2016년에 사퇴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그의 후계자를 고르는 선거는 계속 연기되고 있다.

   야당 지지자들은 카빌라 대통령이 권력에 집착하고 있다고 의심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의혹을 부인하고 있으며, 그 선거에서 전(前) 내무 장관 엠마누엘 라마자니 셰다리(Emmanuel Ramazani Shadary)를 후원하고 있다.

   한편, 외무부는 유럽연합(EU) 대사 바트 우브리(Bart Ouvry)의 추방을 예고 없이 발표하여, 48시간 이내에 콩고민주공화국을 떠나라고 지시하였다. 정부는 콩고 관리들에 대한 제재를 재개하기로 한 유럽 연합(EU)의 결정을 몇 주 동안 비난해 왔다. 정부는 이러한 제재가 콩고민주공화국의 선거 과정을 방해하고 있다고 말한다. 현재 대통령으로 출마 중인 엠마누엘 라마자니 셰다리도 유럽연합의 제재 조치를 받은 이들 중 한 명이다. 그는 2017년 인권 침해로 인해 처음으로 제재를 받은 바 있다.

https://www.bbc.com/news/world-africa-46692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