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발병과 아프리카 모바일 머니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COVID-19는 전 세계로 확산하여 4월 18일 현재 220만 명을 돌파하였고, 사망자는 15만 명을 넘어섰다. 오래전부터 전염병은 가난한 국가의 트랜드처럼 간주하였지만, COVID-19 확산은 선·후진국을 가리지 않고 있다. 현재 아프리카에서 확진자는 17,764명이고, 사망자는 1,071명이다. 아프리카 국가 대부분은 ‘입국자 검색 강화,’ ‘사회적 거리 두기,’ ‘자가 격리,’ ‘감염자 추적,’ ‘단체 집회 금지,’ ‘통행 금지’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역내 감염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기에는 의료 체계 부실, 집단과 외부(길) 생활 관습, 기초 경제 활동 등이 큰 걸림돌이다.

   이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금융 거래에서 현금 사용을 제한하고, 모바일 머니, 전자 지급과 모바일 금융을 COVID-19 확산 방지책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물론, 동전과 지폐에 의한 COVID-19 감염 여부는 논쟁 중이지만, 감염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일부는 지폐 표면에서 며칠 동안 남는다고 하고, 다른 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 위험이 약화한다고 한다. 하지만 프랑스 일부 상점에서는 현금 결제를 거부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지폐를 감염의 매개체로 여기고 지폐를 소독하거나 기존 지폐를 파쇄하기도 하였다. 미국에서는 아시아로부터 유입되는 달러를 검역하기도 했다. 아프리카 시장에서의 거래 대부분은 신용카드가 아닌 동전과 지폐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지폐를 통한 COVID-19 감염을 완전히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아프리카 정부와 통신사는 사람의 이동을 제한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와 모바일 머니의 일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미 Orange, MTN, Safaricom, Airtel, Vodacom, M-Pesa 등의 통신사는 금융 기관과 정부의 요청에 따라 원격 서비스 강화를 위한 조치를 시작하였고, 모바일 머니 캠페인을 늘리고 있다. 모바일 머니는 2005년 남아공을 시작으로 케냐 등으로 빠르게 확산하였다.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어 2018년에 4억 6천만 명이 모바일 머니 계정을 가지고 있다. 2019년 230억 건의 모바일 머니가 거래되었는데, 거래액이 총 4천 5백 60억 달러에 달한다. 최근 케냐 Safaricom은 COVID-19의 잠재적 확산을 막기 위해 90일 동안 모든 개인 간 송금을 무료화했다. 또한, 거래 한도 및 개인이 모바일 지갑에 보유할 수 있는 금액을 늘렸다. 가입자가 지갑에 담을 수 있는 한도를 300불에서 1,400불로 상향 조정했다. 그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 은행 계좌로의 이체 수수료를 모두 면제하였다.

   현재 아프리카의 열악한 의료 체계와 생활 패턴으로 COVID-19 확산 방지가 쉽지는 않다. 따라서 아프리카 국가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와 기초 경제 활동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모바일 머니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어, 사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COVID-19 확산에도 불구하고 이미 글로벌 통신사와 은행들이 아프리카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어 아프리카 디지털 금융의 커다란 변화가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