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드의 SNS 접근 금지 조치 1년 이상 지속

작성자: 김소정/아프리카학부    작성일: 2019.4.25

   차드의 운동가들은 정부가 1년 전 시행했던 SNS 접근 금지 조치를 해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2018년 3월 28일 전국회의(National Conference)에서 이드리스 데비(Idriss Deby) 대통령이 2033년까지 자신의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하기 위해 헌법을 개정하였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SNS 접근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BBC 특파원 빈센트 니베데(Vincent Niebede)는 “2016년 대선 기간부터 많은 차드인이 반정부 시위를 조직하기 위해 SNS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민의 인터넷 사용을 정권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보고 있다. 한 보안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정부는 소셜 미디어가 반군 지도자들이 더 많은 젊은이를 선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간주하고 있다. 지난 2월, 위협을 느낀 차드군의 요청으로 프랑스군이 중무장한 차드 반군 호송차를 공격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페이스북, 트위터, 왓츠앱 등 소셜 미디어의 접속을 차단했다.

   그러나 이 차단은 고객 유치, 마케팅 등을 목적으로 소셜 미디어에 의존하는 차드 기업에 큰 피해를 준다. 차드의 스타 블로거 듀흐브 에마누엘(Deuh’b Emmanuel)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페이스북이 없으면,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지 않으면, 이중 감옥에 있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이러한 불만과 요청이 빗발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보안’을 이유로 조치를 해지할 계획이 전혀 없다는 입장을 강하게 밝혔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근다. 차드 정부는 인터넷의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 국제화와 통신 산업이 완전히 정착된 21세기 현재에도 이런 사회가 존재한다는 것은 충격적이다. 실제로, 아프리카 몇몇 국가–알제리, 짐바브웨, 가봉, 콩고민주공화국, 수단-에서도 정부 차원에서 셧다운을 실행한 적이 있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외압을 받지 않는 차드 정부는 완전한 집권을 꿈꾸지만, 이는 차드가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는 것을 자처할 뿐이다. SNS로 인해 반정부 세력이 커질 것이라는 정부의 판단은 기우에 불과하다. 차드 정부가 아무리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 하더라도 이러한 방식은 좋지 않은 결과를 반드시 초래할 것이다. 개인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차드 사회 내에서 SNS라는 형태로나마 존재했지만, 이것마저 제한한 현 정부는 차드 국민의 입을 막아버린 셈이다. 또, 현재 SNS를 통한 마케팅은 모두가 체감할 정도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국가가 나서서 진입 장벽을 낮춰 주기에도 모자를 판국에, 손수 장벽을 만들어 주고 있는 꼴이다. 이 상황이 장기화되면 기업의 피해가 막대할 뿐만 아니라 이후 차드 경제에도 절대 좋은 전망을 기대할 수 없다. 이 사건은 차드 정부가 현대 사회에서 가능한 최악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단면이다.

출처

BBC. “Chad – where social media has been cut for a year”. https://www.bbc.com/news/world-africa-47733383. 2019.3.28

The East African. “In Chad, social media has been cut for a year.” https://www.theeastafrican.co.ke/news/africa/Chad-social-media-cut-for-a-year/4552902-5047396-46y8ifz/index.html. 2019.3.29

African Arguments. “Chad social media ban reaches one-year mark”. https://africanarguments.org/2019/03/28/chad-social-media-shutdown-has-now-lasted-a-whole-year/. 2019.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