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김광수 HK교수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역사적 평화 합의 타결…UAE 수혜자로 떠올라

25Jul/18

작성자: 안동균    작성일: 2018.7.25

   영국 온라인 뉴스포탈 Middle East Eye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가 지난 20년간 지속된 앙숙 관계를 해소하고자 역사적 평화 합의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앞서 6월 5일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레아와 18년 전 체결한 평화 합의를 공식적으로 수용한 바 있다. 외교 전문가들은 해당 평화 합의를 ‘파격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합의가 아프리카 뿔 지역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전역과 중동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일각에선 오랜 앙숙이던 양국이 급격한 관계 회복에 나서자 의구심을 가지는 이도 적지 않다. Middle East Eye는 이 평화 합의의 수혜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추적하면서, 평화 합의 당사자보다 더 큰 혜택을 누리는 세력이 있을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중동 전문가들은 Middle East Eye를 통해 아랍에미리트가 이번 합의의 가장 큰 수혜자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의 견해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는 에리트레아 남부에 소재한 아사브(Assab) 항구를 눈독들이고 있다. 따라서 양국 관계 개선을 계기로 아사브 항구를 사용하고자 할 것이다.” 아사브 항구는 지부티와 인접해 있으며, 홍해와 아덴만을 연결하는 바브 알 만데브 해협 입구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다. 아울러 중동 전문가들은 아랍에미리트가 예멘 사태를 구실로 아사브 항구를 군사적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면서, 아사브 항구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http://www.aljazeera.net/news/presstour/2018/7/24/%D8%A2%D9%81%D8%A7%D9%82-%D8%A7%D8%AA%D9%81%D8%A7%D9%82-%D8%A7%D9%84%D8%B3%D9%84%D8%A7%D9%85-%D8%A7%D9%84%D8%AA%D8%A7%D8%B1%D9%8A%D8%AE%D9%8A-%D8%A8%D9%8A%D9%86-%D8%A5%D8%B1%D9%8A%D8%AA%D8%B1%D9%8A%D8%A7-%D9%88%D8%A5%D8%AB%D9%8A%D9%88%D8%A8%D9%8A%D8%A7

에티오피아 총리, 약 20년 만에 에리트레아 공식 방문

24Jul/18

작성자: 안동균    작성일: 2018.7.24

   아비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는 2018년 7월 8일(현지 시간) 에리트레아를 공식 방문했다. 이는 약 20년간 지속된 양국 사이의 반목을 해소하는 역사적인 방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에티오피아 총리는 이날 거리로 나온 수천 명의 환영 인파를 맞으며 에리트레아 수도 아스마라에 도착했다.

   프랑스 국제방송국 라디오 프랑스 앵테르나쇼날(Radio France Internationale)은 지난 7월 8일 오전(현지 시간) 에피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양국 정상이 아스마라에서 역사적 만남을 가졌다고 보도하면서, “이번 만남은 아프리카 뿔 지역의 앙숙이 만난 첫 사례이며 약 20년간 지속해 온 군사적 대립을 종식하기 위한 시도다.”라고 전했다.

    에피오피아 및 에리트레아 공영 방송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서로에게 미소를 보이며 포옹을 나눴다. 한편 에피오피아와 에리트레아는 지난 1998년 국경 분쟁으로 전쟁을 한 뒤 외교 관계를 단절한 바 있다.

출처: http://www.elbalad.news/3377941

아프리카연구소 HK사업단 〈제38차 경계를 넘나드는 세미나〉 개최

30May/18

IMG_3390

본 연구소 HK사업단은 2018년 5월 24일 오후 5시 30분부터 7시까지 본교 국제사회교육원 연구동 406호에서 <제38차 경계를 넘나드는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 세미나에서 단국대학교 포르투갈(브라질)어과의 왕선애 교수는 “모잠비크 여성 빈곤의 실태와 극복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참여하신 모든 분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아프리카연구소 HK사업단 〈제38차 경계를 넘나드는 세미나〉 개최 안내

14May/18

안녕하세요?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입니다.
본 연구소 HK사업단은 2018년 5월 24일 (목) 오후 5시 30분부터 <제38차 경계를 넘나드는 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 발표자 : 왕선애 교수/단국대학교 포르투갈[브라질]어과

❍ 주   제 : 모잠비크 여성 빈곤의 실태와 극복 방안

❍ 일   시 : 2018.5. 24 (목) 17:30~19:00

❍ 장   소 : 본 연구소 세미나실 [국제사회교육원 연구동 406호] ❍ 주   최 :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사업단
❍ 후   원 : 한국연구재단, 한국아프리카학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소말리아-아랍에미리트연합국 간 마찰, AMISOM에 악영향 끼쳐

04May/18

작성자: 안동균    작성일: 2018.5.3

   지난 4월 초,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은 對소말리아 안보 기관 지원과 인도주의적 원조를 중단했다. 이것은 UAE와 소말리아 간 외교 분쟁의 증가 때문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아프리카연합 소말리아 임무단(AMISOM)이라는 형태를 띤 국제 사회가 2020-2021년까지 철수를 고려하고 있는 시점에서 일어났다.

   UAE의 對소말리아 지원 철회는 AMISOM의 출구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AMISOM은 평화와 안정을 회복하고자 하는 소말리아 정부를 지원해야 하는 임무를 띠고 2007년부터 이곳에 주둔해 왔다. AMISOM은 국가 안보 기관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알-샤바브와 여타 무장 단체에 의해 야기되는 안보 위협을 줄임으로써 소말리아 정부를 지원하고 있다.

   UAE는 2011년부터 소말리아 정부 기관들을 지원해 왔다. UAE는 푼틀란드 해양경비대를 창설해서 감독하고, 수도 모가디슈에 군사 훈련 센터를 건설해서 지휘하였다. 또한 UAE는 모가디슈에 셰이크 자예드 병원을 설립하여, 하루 약 300명의 환자에게 무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말리아 관리들은 UAE의 지원에 감사의 뜻을 종종 표했다.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소말리아 前 대통령은 안보·교육·건강 분야를 지원해 달라는 소말리아 정부의 요청에 UAE가 신속히 반응한 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최근 아브디웰리 모하메드 알리 푼틀랜드 대통령도 UAE가 소말리아 국군의 역량을 회복시키는 데 얼마나 기여해 왔는지에 대해 언급했다.

   그러나 양국 관계는 악화하고 있다. 2018년 4월 8일, 소말리아 치안 부대는 UAE 항공기를 가로챈 후에, 모가디슈에 있는 공항에서 약 천만 달러의 현금을 압수했다. 이에 분노한 UAE는 소말리아에 대한 지원을 즉각 중단했다. UAE는 강탈된 돈이 소말리아의 주 정부 병사들의 훈련과 급여 지급에 쓰일 예정이었다고 밝혔다.

   양국 관계는 지난해 모하메드 압둘라히 파르마조 모하메드가 집권한 이후 실제로 악화하고 있다. 파르마조 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집트 및  바레인이 취하고 있는 카타르 봉쇄 조치에 참여하라는 요청을 거부했다. 전자의 국가들은 카타르가 테러 조직을 후원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걸프 국가들 간 갈등에 대한 파르마조의 공식적 입장은 ‘중립적’이나, 전문가들은 그가 친카타르 노선을 취하고 있음을 언급했다. 이것은 소말리아의 동맹이자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인 터키가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동맹들에 맞서 카타르 편을 들고 있기 때문이다.

   걸프 국가들에서의 갈등은 소말리아의 고위 정부 관리들 간 분열을 가져왔다. 파르마조 대통령과 지지자들이 카타르와 터키 편에 섰을 때, 일부 정부 관리는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동맹들을 지지했다. 지난 4월 UAE가 인도주의적 지원을 중단했을 때, 카타르는 버스 30대와 크레인 2대를 모가디슈시 행정 당국에 즉각 기부했다.

   소말리아와 UAE 간 외교 분쟁은 AMISOM의 출구 전략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면, 소말리아는 취약한 상태로 있을 것이며, 알-샤바브와 같은 무장 단체들은 이 나라의 안정을 계속 위협하기 위해 이러한 외교 분쟁을 이용할 것이다. 그래서 외교적 수단을 통해 소말리아와 UAE 간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으로써 소말리아의 치안 부대에 대한 UAE의 지원이 재개되고 강화될 수 있다.

출처: http://allafrica.com/stories/20180502051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