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의 인플레이션과 거시 정책

   그간 아프리카의 수많은 국가는 인플레이션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 최근 에티오피아에서도 심각한 인플레이션이라는 재앙이 재발했다. 지난주 사미아(Samia Zekaria)가 수장으로 있는 중앙통계국(CSA)의 발표에 의하면,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한 달 사이에 11.9퍼센트나 상승했다. 식품 가격은 평균 13.9퍼센트 상승한 반면, 그 외의 물가는 9.7퍼센트 상승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수준에서는 긍정적 외부 효과를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경제학적 의미에서 이와 같은 물가 상승은 초인플레이션(hyperinflation)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물가 상승률은 개인 소득뿐만 아니라 거시 경제의 안정에도 해를 끼친다. 높은 상품 가격으로 인한 소득 손상은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소득 불평등을 확대시킨다. 식품 가격 상승을 포함한 인플레이션 압박이 전 세계적으로 심했던 2008년에는 사회가 아주 불안정했다.

   에티오피아 경제에서 인플레이션 압박의 재발은 정책 입안자들이 무시만 할 수 없는 엄청난 위험이 되고 있다. 현재의 경제 현실 하에서 그러한 위험을 억제하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물론 인플레이션이 집권 여당 인사들이나 그들의 기술 정책 보좌관들에게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인플레이션은 정치인과 총리실의 기술 관료들에게 가장 중요한 거시 경제 현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현상은 그 복잡성으로 인해 해결이 더욱 어렵다. 전체 물가의 상승은 여러 경제적 요인의 결과이다. 이것은 재정적 요인, 통화 문제 및 공급 결정 요인이 상호 작용한 결과이다. 2010년 아프리카개발은행(AfDB)과 세계은행(WB)이 수행한 연구는 재정, 통화 및 공급 요인의 조합에서 비롯되는 에티오피아의 인플레이션 압박을 정확하게 예측한 바 있다.

   에티오피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이 경제 발전을 견인하는 데 필수적이다. 일부 경제학자는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은 본질적으로 경제 성장의 결과라고 말한다. 이러한 견해는 지난 10년 동안 에티오피아의 국내 총생산(GDP)이 연평균 10.1퍼센트 성장했다는 사실에 근거해 있다. 그러나 이론은 이론일 뿐이고, 인플레이션의 재발은 에티오피아 경제를 점점 위험에 빠트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인플레이션은 여러 요인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도 종합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에티오피아 사회가 당면해 있는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각계각층의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정치인들의 책임이 막중하다. 그들은 이 문제를 기술 관료들에게 일임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경제 정책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