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posts by 김은경 교수
김은경-3단계 4년차 케냐 나이로비 현지조사, 문서자료 2

김은경-3단계 4년차 케냐 나이로비 현지조사, 문서자료 1

2019년 모잠비크 선거, 진전이 있나?
1994년 다당제를 도입한 이래 총 5회의 대선과 총선을 치렀는데 모든 선거에서 다당제 도입 전 일당제를 운영하던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의 대선후보가 계속 승리했으며 같은 정당이 다수당을 차지해 왔다. 이에 맞서 반군 무장세력이었던 모잠비크 민족저항(RENAMO)이 정식 정당으로 등록해 제1야당의 역할을 해왔고 르나모의 의장이었던 아폰소 들라카마(Afonso Dhlakama)는 2014년 선거 때까지 5번이나 르나모의 대선후보로 출마했었다. 들라카마가 야권 지도자로 잘 알려진 데 비해 그는 선거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018년 들라카마가 사망함으로써 2019년 10월 15일에는 들라카마 후보가 없는 최초의 선거가 치러진다. 주요 대선후보로는 필리페 니우시 현직 대통령(프리리모 정당), 르나모의 오수푸 모마드(Ossufo Momade), 모잠비크 민주운동(MDM)의 다비즈 시망고(Daviz Simango), 원외정당연합운동(Extraparliamentary Action Party of the United Movement for Integral Salvation, AMUSI) 후보 마리오 알비노(Mario Albino), 총 4명이다.
선거를 앞두고 필리페 니우시 현직 대통령과 르나모 지도자 오수푸 모마드는 두 세력 간 싸움을 중단하고 평화적으로 선거에 임할 것을 선언하며 평화협정에 서명을 했다. 이번 합의의 내용은 5천명 이상의 르나모 병력이 즉각 무장해제할 것, 르나모 장교들이 정부군에서의 지위를 얻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무기를 반납한 반군은 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선거법을 개정하여 집권 정당이 임명하던 주지사 직을 선거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이로 인해 르나모는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주지사 직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르나모의 군사조직을 통제하는 마리아노 농고(Mariano Nhongo) 참모 부장과 그의 분파는 니우시와 모마드가 체결한 협정을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그들과 다시 협상을 하지 않으면 10월 15일로 예정된 선거 대신 전쟁이 시작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1975년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해방된 후 르나모는 프리리모 정부를 상대로 내전을 벌여왔고 100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다당제가 도입된 후 수차례의 평화협정이 있었지만 르나모의 무장조직이 완전히 해체되었던 적은 없다.
야권후보의 지지율에 있어서도 들라카마는 2004, 2009, 2014년 선거에서 37% 이상의 득표율을 얻지 못했고 프리리모는 모잠비크 남부와 북부지역에서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다. 야당 지도자들은 선거 사기로 인해 집권당이 선거에서 승리하고 있다고 비난하지만 프리리모 지지율과 정부의 정책 수행능력으로 볼 때 야당의 도전에 크게 위협을 당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르나모 내부의 갈등은 유권자들에게 제1야당의 통합능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비쳐질 수 있다.
짐바브웨 음낭가과 정부의 언론 자유 회복을 위한 움직임
에머슨 음낭가과 현 짐바브웨 대통령은 2017년 11월 쿠데타를 일으켜 37년간 독재한 자로버트 무가베를 축출하고 정권을 잡았다. 그 후 2018년 7월 30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며 합법적인 집권을 시작했다. 이와 같은 정치적 변화의 물결을 타고 최근 짐바브웨 정부는 음낭가과의 집권 직후부터 논의된 정보접근 및 사생활보호법(Access to Information and Protection of Privacy Act, AIPPA) 폐지를 승인했다. 정보접근 및 사생활보호법은 로버트 무가베 전 대통령이 2002년 대선을 겨냥하여 언론사 및 언론의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개정한 일련의 법 중 하나이다. 무가베 전 대통령은 본 법 규정에 따라 외신 기자들을 추방하고 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언론사들을 폐쇄했으며 수없이 많은 기자를 체포했다. 정보접근 및 사생활보호법이 폐지되면 정보접근법안, 짐바브웨미디어위원회법안, 사생활/데이타보호법안의 개정으로 대체될 것이다. AIPPA의 폐지와 함께 언론 관련 시민 단체들은 지역 라디오방송국 설립의 신속한 허가를 요구하고 있다. 서구 국가들과 시민 단체들이 인권 보호를 외치며 음낭가과 정부의 언론 개혁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국가의 주체적인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출처: https://allafrica.com/view/group/main/main/id/00066328.html
우간다-르완다 국경 폐쇄, 그 원인은?
3월초 우간다에서 르완다로 진입하려던 화물 트럭이 르완다의 가투나(Gatuna) 타운에 위치한 세관을 통과하려다 제지당했다. 그 후에도 르완다에서 우간다로 이동하려는 차량들이 르완다 쪽 세관에서 계속해서 통과에 실패했다. 르완다 국세청(Rwanda Revenue Authority)은 그 원인이 가투나 지역 도로 보수 공사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덧붙여 르완다 정부는 우간다에 들어간 르완다 국민들이 우간다 정부에 의해 적법 절차 없이 감금, 구류, 고문을 당하거나 강제 추방당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우간다 정부는 거짓 혐의라고 주장했으며 오히려 르완다 정부의 정보원들이 우간다의 치안 조직에 침투하려다 적발됐다고 비방했다. 적발된 르완다 정보원들은 실제로 감금당하거나 강제 추방당하였으나 적법 절차에 의한 것이었다고 우간다 정부는 주장했다.
두 국가의 국경에서 발생한 혼란은 지역민들의 경제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히고 있다. 무역 비즈니스에 종사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국경 근처에서 소매업을 하는 사람들, 화물업계 종사자 및 우간다에서 보건 진료와 교육을 받는 사람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르완다는 다섯 번째로 큰 우간다 수출품의 도착지이기도 하다. 르완다의 폴 카가메 대통령과 우간다의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은 서로 정권을 잡을 수 있도록 도운 긴밀한 사이이며, 비즈니스에 관해서도 유대가 깊다. 그러나 무세베니와 카가메가 함께 지지했던 콩고민주공화국의 로렌트 카빌라가 정권을 잡은 후 두 국가의 군인들을 모두 추방하자 그 후 두 국가 정상들은 협력 관계가 아닌 경쟁 관계로 돌아섰다. 천연자원이 풍부한 콩고민주공화국 동부 지역에 대한 패권 다툼이 두 국가 간 계속되는 긴장 상태의 근본 원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