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관리자
왕족의 초호화 생활, 민생은 뒷전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 김광수
지난 2012년 9월 24일 남아공 전통지도자회의(Traditional Leaders’ Congress of SA)의 의장 홀로미사(Phathekile Holomisa)는 줄루 왕(Zulu king) 즈웰리티니(Goodwill Zwelithini)가 특혜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즈웰리티니는 다른 민족집단인 폰도족(The Pondo)의 왕, 페디족(The Pedi)의 왕, 은데벨레족(The Ndebele)의 왕, 벤다족(The Venda)의 왕 등과 다른 처우를 받고 있다.” 고 주장했다.
즈웰리티니는 최근 그의 수행단과 함께 더반(Durban)에 있는 초호화 호텔에 머무르며, 경비로 15만 란드의 혈세를 낭비했다. 올해 그에게 할당된 예산은 5천 9백 6십만 란드로 예년에 비해 올랐지만, 즈웰리티니는 1천 7백만 란드의 추가 예산을 요구하고 있다. 여왕 마푸(Zola Mafu)를 위해 호화로운 궁전을 신축하려고 계획하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추가 재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왕을 위한 궁전은 올해부터 무려 4년간 계속될 예정으로, 앞으로도 현재 요청한 추가 예산의 몇 배에 달하는 자금이 더 필요 할 것으로 예상된다.
즈웰리티니 왕가는 올해 초 개인적인 사치행위를 자제하라는 경고를 받은 바 있다. 여왕들은 사치스러운 소비성향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2008년에는 옷을 구매하는 데 20만 란드를 소비하고, 유명 디자이너가 제작한 의류와 호화스러운 휴가에 돈을 펑펑 쓴 것에 대한 야당의 거센 비난을 받아야만 했다. 남아공의 1인 연소득이 5만 란드 정도임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지출은 막대한 액수인 것을 알 수 있다. 2013-2014년의 예산 신청에 대응해 정부는 이전과 같이 많은 예산을 편성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자 왕가는 “이는 전통에 대한 왜곡과 탈선”이라며 오히려 반발하였다.
위 만평에 그려진 인물은 즈웰리티니로 정부의 많은 돈을 왕가의 운영예산으로 가져가고 있다. “I simply can’t make ends meet!”이라는 말은 ”나는 겨우겨우 먹고 살아가요!“라는 뜻으로 추가예산편성을 요구하는 그의 뻔뻔함을 풍자하고 있다.
즈웰리티니 왕가를 대표하는 무크왕고(Albert Mncwango)는 “줄루 왕가가 다른 왕가에 비해 특별히 더 큰 대접을 받는 것은 다른 왕가와 구별되는 독특한 역사와 순수하게 보전된 혈통 때문이다.” 라고 말했다. 그러나 돌이켜 생각해보면 줄루왕가가 고귀한 왕가이기 때문에 더욱더 검소함으로 본을 보여야 마땅하다. 왕가의 권위는 사치가 아닌 시민들의 지지를 통해 지켜지기 때문이다. 왕가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예산 또한 정부에 전적으로 의지해서는 안 될 일이다. 줄루 왕가가 직접 운영할 사업을 구상해 그로부터 수익을 얻도록 해야 한다. 훗날 시민들의 가난과 대비되는 호화행보가 아니라 민생을 살피고 존경받는 왕가로써 매스컴에 소개되는 줄루왕가와 즈웰리티니 왕을 기대해본다.
출처: http://www.bdlive.co.za/opinion/cartoons/
남북 수단 대통령 간의 비무장지대 합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금상문
수단 오마르 알-바쉬르(Omar al-Bashir) 대통령과 남수단 살바 키이르(Salva Kiir) 대통령은 안전보장, 석유와 국경에 대하여 합의를 하였다고 카타르에 본부를 둔 알자지라방송은 2013년 1월 6일 보도하였다. 남수단은 1년 전에 하루 35만 배럴을 생산하는 주바 유전을 폐쇄하였기에 남북 수단 양측이 돈에 궁해졌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남수단에 있는 유전지대에서 생산하는 석유를 남수단은 북수단을 통하여 홍해에 있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해외시장에 수출을 할 필요가 있고, 북수단은 북수단영토를 통과하는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이익을 챙겨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양측 지도자들은 오랫동안 지연된 국경선에 따른 비무장지역의 설정과 가능하다면 석유수출의 재개조건에 대하여도 합의하였다.
합의를 하기 전 남북 수단 양측은 그동안 국경분쟁을 자주 일으켰다. 남수단은 2011년 7월 1983년부터 2005년까지 계속된 시민전쟁을 종식하고 중요안건을 해결하지 못한 채 북수단정부와 평화협정에 따라 독립을 하였다. 그러나 아비에이 유전을 비롯한 국경마을에서 북수단에 대하여 수단인민해방운동(Sudan People’s Liberation Movement-North:SPLM-North) 반군활동이 있었고, 이에 따라 북수단 정부는 이러한 반군활동은 남수단이 지원한 결과이고, 남수단은 코르도판 남부(South Kordofan), 청나일(Blue Nile)과 다르푸르(Darfur)에서 남수단이 테러집단을 지원한다고 남수단 정부를 비난하였다. 한편 남수단 정부도 남수단에 대한 테러와 폭도들이 남수단 영토에서 발흥하자 북수단을 비난한 바 있다. 즉 남수단 정부는 북수단이 국경마을에 폭격을 가했다고 비난하였고, 북수단정부도 테러지원활동을 중단하라고 남수단 정부에 촉구하였다. 이에 따라 양국의 긴장관계가 높아져 갔다.
하지만 북수단과 남수단 정부가 평화협정에 합의를 이루게 된 이유는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이 중재한 결과 남수단과 수단의 두 지도자가 이디오피아의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서 만나서 남북수단 간의 현안들에 합의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이디오피아 하일레마리암 데살레근(Hailemariam Desalegn) 수상은 남북 수단 양측을 초청하여 중재하였다. 또 남아프리카 음베키 전 대통령도 남북 수단 간의 평화협정 중재에 큰 역할을 하였다.
남북 수단 간의 평화협정에 따라 남수단은 비무장지대에서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하였고, 양측 군대의 철수는 2013년 2월 4일까지 매듭지어질 예정이다. 또 남북 수단간의 불신의 벽을 허물기 위하여 북수단의 바시르대통령이 2013년 1월 21일에 남수단의 주바를 방문할 예정이다.
하지만 남북 수단 간의 불신의 벽은 아직도 높기 때문에 언제 다시 국경선을 따라 전투와 긴장관계가 재개될 수도 있다. 남북 수단은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불신의 벽을 허물면서 신뢰구축을 하여야 한다.
참고: 알자지라 방송 (2013년 1월 6일)
http://www.aljazeera.com/news/africa/2013/01/201315152834449236.html
http://news.yahoo.com/south-sudan-sees-northern-border-zone-within-month-214349914.html;_ylt=A2KLOzJc_fhQr3YAac7QtDMD
http://www.scotsman.com/news/international/south-sudan-pulls-back-army-from-border-zone-1-2744309
http://www.sudantribune.com/spip.php?article45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