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리 에브도를 보는 아프리카 이슬람 국가들의 시선

   프랑스에서 발생한 시사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으로 12명이 목숨을 잃고 전 세계가 애도하는 가운데, 최근 마그레브를 포함한 아프리카 이슬람 국가에서는 다른 징후가 포착되고 있다. “내가 샤를리다”(Je suis Charlie)라는 구호에 반해, “나는 샤를리가 아니다”(Je ne suis pas Charlie) 혹은 “나는 무슬림이다”(Je suis Muslim)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샤를리 에브도>의 무한한 표현의 자유에 찬성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샤를리 에브도>는 테러가 발생한 이후 발행한 최신호 무슬림 만평(1월 14일)이 190만 부 이상 판매됐고, 원래 300만 부를 기획했지만 700만 부로 늘릴 것을 결정하면서 무슬림들의 반감을 샀다. 특히 지난 1월 16일 금요일을 기점으로 불기 시작한 프랑스 언론에 대한 반감은 무슬림의 금요일 예배 이후 집단 행위로 이어졌는데, 아프리카에서는 알제리와 니제르, 모리타니, 세네갈에서 격하게 반 프랑스 시위로 확산되고 있다. 니제르의 경우 10명의 사망자, 4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프랑스 문화원과 20개 이상의 교회가 습격당해 불타기도 했다. 세네갈에서는 곳곳에서 시위가 발생하며 프랑스 국기와 교회 방화 사건이 곳곳에서 목격되었고, 모리타니아 국가 수반인 Mohamed Ould Abdel Aziz는 테러 단체와 모하메트 풍자를 한 <샤를리 에브도>를 동시 비판했다. 말리는 대통령이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 이후 파리에서 열린 가두 행진에 참여하여 논란이 되고 있으며, 말리 내에 있는 이슬람 테러 단체까지 자극하여 향후 테러 위협에 시달릴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이렇듯 아프리카에서 반 프랑스 시위, 혹은 <샤를리 에브도> 만평 관련 시위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과격한 양상을 보이지만, 근본적인 테러 발생 이유에 대해 끊임없는 의문을 제기하며 행동으로 보이는 국가는 알제리이다. 알제리 수도 알제에서는 수천 명의 시위대가 과격한 움직임을 보이며 경찰과 충돌하고 있고, 프랑스 국기를 불태워 급기야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이 나서 진화하려는 모양새지만 쉽게 알제리인의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고 있다. 1월 18일에도 알제리 고등학생들이 반 프랑스 시위에 동참하는 항의 시위를 예정하고 있고, 이들은 “우리 모두는 모하메드이다”, “내가 쿠아치이다”(쿠아치는 테러범의 이름이다)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하고 있다.

   알제리에서 과민 반응이 나오는 이유는 이번 테러범 쿠아시 형제와 여성 공범으로 도피 중인 하야트 부메디엔(24세)이 모두 알제리계 이민자 2세들이기 때문이다. 전체 인구의 10%인 650만 명이 무슬림인 프랑스에서 약 500만 명이 알제리계 주민으로 이들 대부분은 빈곤과 실업에 시달리고 있다. 본국에서 이들을 보는 시선이 늘 좋은 것만은 아니지만, 이번 테러가 ‘누가’, ‘어떻게’에만 초점을 맞추면 안 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테러 이유 및 본국인 알제리에 대해 프랑스가 식민지배 기간 동안 어떻게 했는지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최근 정치경제적으로 화해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양국 간에 다시 긴장감이 감돌고 있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