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완다 인종 학살 20주년, 누가 반성해야 하는가?

Rwanda

   르완다 인종 학살(genocide) 20주기를 맞아 당사자였던 후투(Hutu)족과 투치(Tutsi)족이 화해를 하는 장면 등이 언론을 통해 전 세계에 퍼지면서 UN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피해자들에 대한 추모와,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다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르완다에는 후투족과 투치족이 함께 살고 있고, 외모부터 다른 이 두 민족의 갈등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그러던 1994년, 후투족 대통령이 살해된 것을 계기로 투치족에 대한 대학살이 시작되었다. 인구의 1/10이 넘는 약 100만 명이 살해되었고, 수많은 폭력이 난무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대학살이 갑자기 일어난 것이 아니라 암암리에 예고가 되어있었던 사건이라는 것이다. 당시 UN군으로 파견되었던 사령관 로미오 달레어(Romeo Dallaire) 장군은 학살이 준비되고 있다는 소식을 UN에게 보고했지만, UN은 이에 대응하지 않았다. 또한 미국, 프랑스, 벨기에 등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이 사실을 쉬쉬하는 데 급급했고, 전쟁이 시작되자 이들을 돕는다는 명분 아래 무기를 파는데 열을 올렸다. 르완다의 내전에 간섭하여 그들에게 득이 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내전이 끝난 후 몇 년이 지난 후에도 이 사건은 대량 학살이라고 명명되지 못했다. 이를 대량 학살로 정의한다는 것은 국제사회가 그 책임을 떠맡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금도 이런 일은 일어나고 있다. 중동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내전에 선진국이 관여하는 것은 선진국이 중동 지역 민간인들의 안전과 인권을 염려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주기를 맞아 르완다 대학살의 의미가 다시 부각되는 이 시점에서 이 만평은 이런 국제사회의 냉담하고 잔인한 태도를 상기시키고 있다. 20년 전 국제사회의 침묵을 말하고 있는 르완다를, 선글라스를 끼고 애써 돌아서 외면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모습은 앞으로의 그들의 태도에 대한 걱정과 기대를 불러일으킨다.

출처: http://www.bdlive.co.za/opinion/cartoons